목성지구 개발방식 놓고 지주-시 갈등 여전
목성지구 개발방식 놓고 지주-시 갈등 여전
by 운영자 2013.03.19
일부 지주들 “환지방식 변경” 주장
이성웅 시장 “환지 방식 어렵다” 선긋기
이성웅 시장 “환지 방식 어렵다” 선긋기

▲사진설명- 목성지구 일부 토지주들이 광양시를 방문, 도시개발사업에
대한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있다.
목성지구 도시개발 사업이 양도세 논란에 이어 이번에는 개발방식을 놓고 지주와 광양시간에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수용과 환지 방식을 놓고 토지 소유자들의 의견도 서로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목성지구 개발 사업 진행 과정에도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광양 목성지구 토지 소유자 20여 명은 18일 오전 이성웅 광양시장을 항의 방문했다.
이들은 미리 배포한 ‘요구사항’을 통해 “광양시는 개발 당사자인 지주들에게 수용개발에 대한 일체의 설명도 없이 지주들을 속이고 (주)부영으로 하여금 동의서를 받는데 모든 협조를 다하고 있다”며 △지주들을 속이고 징구한 동의서를 폐기하도록 (주)부영에 행정 명령을 내릴 것 △부영이 받은 동의서는 인허가 과정에서 인정하지 않을 것 약속 △즉각 목성지구 지주 전체 회의를 소집해 일련의 진행상황과 광양시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천명할 것 등을 요구했다.
이날 지주들이 요구하는 핵심은 개발방식의 변경이다.
토지 소유자 박모 씨는 “수용방식의 도시개발사업은 양도세 부담 등 토지 소유자 입장에서 피해가 커 동의할 수 없다”며 “환지 방식으로 개발 방식을 변경해 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시의 입장은 단호했다.
이성웅 시장은 “양도세 등 세금과 관련된 설명회는 모든 토지 소유자가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2번이든 3번이든 개최할 수 있지만 환지 방식은 어렵다”고 확실히 선을 그었다.
이같은 양측의 주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일부 토지 소유자가 “세금 관계가 명확하다면 부영과 LH상관없이 사업에 협조하겠다”는 발언을 하면서 토지주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양측은 전체 지주가 참석하는 공청회를 개최하자는 의견에 뜻을 모으기도 했다.
목성지구 양도세 논란의 후유증이 이번에는 ‘수용’과 ‘환지’라는 개발 방식을 놓고 다시 재현되는 양상이다.
한편 이에 앞서 목성지구 토지소유주 40여명은 지난 16일 오후 광양읍 환경위생공사 앞에서 모임을 갖고 수용방식 반대 입장을 정리했다.
또 목성지구 도시개발 수용방식 반대 추진위원회도 구성했다. 이들은 (주)부영에 보낸 동의서 폐기 요청 내용증명을 3차 까지 발송할 예정이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
대한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전달하고 있다.
목성지구 도시개발 사업이 양도세 논란에 이어 이번에는 개발방식을 놓고 지주와 광양시간에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수용과 환지 방식을 놓고 토지 소유자들의 의견도 서로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돼 목성지구 개발 사업 진행 과정에도 진통이 예상되고 있다.
광양 목성지구 토지 소유자 20여 명은 18일 오전 이성웅 광양시장을 항의 방문했다.
이들은 미리 배포한 ‘요구사항’을 통해 “광양시는 개발 당사자인 지주들에게 수용개발에 대한 일체의 설명도 없이 지주들을 속이고 (주)부영으로 하여금 동의서를 받는데 모든 협조를 다하고 있다”며 △지주들을 속이고 징구한 동의서를 폐기하도록 (주)부영에 행정 명령을 내릴 것 △부영이 받은 동의서는 인허가 과정에서 인정하지 않을 것 약속 △즉각 목성지구 지주 전체 회의를 소집해 일련의 진행상황과 광양시의 입장을 공개적으로 천명할 것 등을 요구했다.
이날 지주들이 요구하는 핵심은 개발방식의 변경이다.
토지 소유자 박모 씨는 “수용방식의 도시개발사업은 양도세 부담 등 토지 소유자 입장에서 피해가 커 동의할 수 없다”며 “환지 방식으로 개발 방식을 변경해 줄 것”을 요구했다.
하지만 시의 입장은 단호했다.
이성웅 시장은 “양도세 등 세금과 관련된 설명회는 모든 토지 소유자가 이해할 수 있을 때까지 2번이든 3번이든 개최할 수 있지만 환지 방식은 어렵다”고 확실히 선을 그었다.
이같은 양측의 주장이 계속되는 가운데 일부 토지 소유자가 “세금 관계가 명확하다면 부영과 LH상관없이 사업에 협조하겠다”는 발언을 하면서 토지주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양측은 전체 지주가 참석하는 공청회를 개최하자는 의견에 뜻을 모으기도 했다.
목성지구 양도세 논란의 후유증이 이번에는 ‘수용’과 ‘환지’라는 개발 방식을 놓고 다시 재현되는 양상이다.
한편 이에 앞서 목성지구 토지소유주 40여명은 지난 16일 오후 광양읍 환경위생공사 앞에서 모임을 갖고 수용방식 반대 입장을 정리했다.
또 목성지구 도시개발 수용방식 반대 추진위원회도 구성했다. 이들은 (주)부영에 보낸 동의서 폐기 요청 내용증명을 3차 까지 발송할 예정이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