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성광기업 노조원 포스코 출입 정지 지역 노동계 반발

성광기업 노조원 포스코 출입 정지 지역 노동계 반발

by 운영자 2013.05.16

노동계, 21일까지 해제 요구 … 거부 땐 ‘투쟁’
노조 측 “갑과 을의 모습으로 비춰지지 않길”

▲사진설명- 지난달 9일 현안대응 TF 전체회의에서
고석범 제철소 부소장(좌측)의 발언이 성광기업 노조원
포스코 출입 정지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속보>복직 예정이던 성광기업 노조원의 포스코 출입 정지에 반발한 지역 노동계가 오는 21일까지 출입정지 해제를 요구했다. 이들은 요구 조건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22일 기자회견을 갖고 본격적인 투쟁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본지 5월 14일자 보도>

금속노조 광주전남본부, 민노총 전남본부, 포스코사내하청지회, 포스코현안대응연대회의 등은 지난 13일 오후 5시, 민노총 광양시지부에서 회의를 개최하고 최근 발생한 성광기업 노조원의 포스코 출입정지에 대한 대책을 논의했다.

이들은 일단 오는 21일까지 포스코와 대화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키로 의견을 모았으며, 출입정지가 풀리지 않을 경우 22일부터 본격적인 투쟁에 돌입키로 결정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연대회의 관계자는 “해고자가 성광기업에 복직되더라도 포스코의 출입정지가 안 풀리면 노사합의의 의미가 없는 것”이라며 “시의원, 시민단체, 노동계 등이 공동으로 제철소장 면담을 요청해 이 문제를 따지기로 뜻을 모았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최근 우리나라 사회 전반에 걸쳐 갑과 을의 관계가 관심사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성광기업 노사합의 과정과 포스코의 출입정지 사건이 시민들에게 ‘갑과 을’의 모습으로 비춰져선 안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노사합의에 따라 5월 1일 복직 예정이던 성광기업 노조원 3명이 지난달 15일 포스코로부터 출입정지 조치를 당하며 불거졌다.

노동계는 지난달 9일 개최된 ‘포스코현안대응TF전체회의’에서 고석범 광양제철소 부소장의 발언을 출입정지의 원인으로 찾고 있다.

포스코는 이에 대해 “포스코에 반하는 행위의 가능성 때문”이라며 발언과의 관련성을 차단했다.

한편, 성광기업은 지난해 1월 삼화산업이 새롭게 출발한 회사다. 이 회사는 삼화산업 시절 사측에 의한 노조 파괴 공작 논란 등으로 잡음이 일던 사업장이다.

이후 현 대표이사가 취임하며 노사가 상생을 선언하는 등 노사 문제도 잠잠해지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갑작스런 포스코의 출입정지로 인해 파장이 확산되자 성광기업 측도 당황해 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이와 관련 노조 측 관계자는 “성광 측도 자신들의 한계를 뛰어넘는 일이라 어찌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