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 제조업체 BSI 전망지수 73.9 … “경기회복 불투명”
광양 제조업체 BSI 전망지수 73.9 … “경기회복 불투명”
by 운영자 2013.12.30
경제지표가 개선되고 있지만 경기회복에 대한 지역기업들의 기대감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27일 광양상공회의소(회장 김효수)에 따르면 지난 11월 14일부터 29일까지 관내 1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4년 1분기 기업경기전망 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내년 1분기 전망치가 ‘73.9’로 집계됐다.
전 분기(110.3)에 비해 크게 하락한 수치로 2013년 1분기 이후 지속되던 상승 기대치가 한풀 꺾인 상황이다.
광양상의는 실적치의 경우 ‘87’로 오히려 전분기(62.1)에 비해 대폭 상승했으나 대다수 기업들이 향후 경기회복이 불투명하다고 판단하고 있어 전망지수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경기전망지수(BSI)는 기업들의 현장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100을 넘으면 전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응답기업의 분포를 보면 전분기 보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전체 응답업체 중 13%인 가운데, 전분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47.8%, 경기악화를 예상한 기업체는 39.2%로 조사됐다.
세부항목별 실적지수를 살펴보면 4/4분기 지역기업들의 대내외 여건은 모두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내년 1/4분기에는 대다수의 전망치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대내여건 악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1/4분기 대외여건 조사에서 환율변동은 강세·안정(40.9%), 약세(18.2%)순으로 응답했으며, 원자재 조달여건은 현재 수준유지(45.5%), 현재보다 악화(34.8%), 현재보다 호전(13%)으로 응답했다.
미국 경제상황은 현재수준유지(45.5%), 현재보다 호전(36.4%), 현재보다 악화(18.1%), 중국 경제상황은 현재수준유지(40.9%), 현재보다 호전(36.4%), 현재보다 악화(22.7%), 유럽 경제상황은 현재수준 유지(54.6%), 현재보다 악화(22.7%), 현재보다 호전(22.7%)순으로 조사됐다.
대내여건 부분에서는 자금사정이 현재 수준 유지(60.9%), 현재보다 악화(21.7%), 현재보다 호전(17.4%) 순으로 응답했으며, 노사문제는 현재수준 유지(73.9%), 현재보다 호전(17.4%), 현재보다 악화(8.7%), 정부규제는 현재 수준 유지(69.6%), 현재보다 악화(17.4%), 현재보다 호전(13%)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애로요인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들이 자금사정(33.3%)을 꼽아 매출부진으로 인해 자금수급에 애로를 겪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원자재 조달여건(20.8%), 노사문제와 중국 경제상황(12.5%), 미국 경제상황(8.3%), 환율변동과 유럽경제상황, 정부규제 순으로 응답했다.
경기의 본격 회복시기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내년 하반기와 내후년 이후(47.8%)라는 응답이 내년 상반기(4.4%)를 크게 웃돌아, 내년 국내 성장률은 ‘상고하저’가 될 것이라는 주요 기관들의 전망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광양상의 관계자는 “최근 일부 경제지표가 개선되고 주요 기관들이 내년 우리경제의 성장률을 3%로 예상하고 있지만 최근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통상임금범위 확대, 철도파업 등의 대내외적 요인들이 기업의 경영활동 및 투자심리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어 지역 기업들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더욱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
전 분기(110.3)에 비해 크게 하락한 수치로 2013년 1분기 이후 지속되던 상승 기대치가 한풀 꺾인 상황이다.
광양상의는 실적치의 경우 ‘87’로 오히려 전분기(62.1)에 비해 대폭 상승했으나 대다수 기업들이 향후 경기회복이 불투명하다고 판단하고 있어 전망지수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경기전망지수(BSI)는 기업들의 현장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100을 넘으면 전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응답기업의 분포를 보면 전분기 보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전체 응답업체 중 13%인 가운데, 전분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47.8%, 경기악화를 예상한 기업체는 39.2%로 조사됐다.
세부항목별 실적지수를 살펴보면 4/4분기 지역기업들의 대내외 여건은 모두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내년 1/4분기에는 대다수의 전망치가 악화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대내여건 악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1/4분기 대외여건 조사에서 환율변동은 강세·안정(40.9%), 약세(18.2%)순으로 응답했으며, 원자재 조달여건은 현재 수준유지(45.5%), 현재보다 악화(34.8%), 현재보다 호전(13%)으로 응답했다.
미국 경제상황은 현재수준유지(45.5%), 현재보다 호전(36.4%), 현재보다 악화(18.1%), 중국 경제상황은 현재수준유지(40.9%), 현재보다 호전(36.4%), 현재보다 악화(22.7%), 유럽 경제상황은 현재수준 유지(54.6%), 현재보다 악화(22.7%), 현재보다 호전(22.7%)순으로 조사됐다.
대내여건 부분에서는 자금사정이 현재 수준 유지(60.9%), 현재보다 악화(21.7%), 현재보다 호전(17.4%) 순으로 응답했으며, 노사문제는 현재수준 유지(73.9%), 현재보다 호전(17.4%), 현재보다 악화(8.7%), 정부규제는 현재 수준 유지(69.6%), 현재보다 악화(17.4%), 현재보다 호전(13%)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애로요인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들이 자금사정(33.3%)을 꼽아 매출부진으로 인해 자금수급에 애로를 겪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어 원자재 조달여건(20.8%), 노사문제와 중국 경제상황(12.5%), 미국 경제상황(8.3%), 환율변동과 유럽경제상황, 정부규제 순으로 응답했다.
경기의 본격 회복시기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내년 하반기와 내후년 이후(47.8%)라는 응답이 내년 상반기(4.4%)를 크게 웃돌아, 내년 국내 성장률은 ‘상고하저’가 될 것이라는 주요 기관들의 전망과는 다소 차이를 보이고 있다.
광양상의 관계자는 “최근 일부 경제지표가 개선되고 주요 기관들이 내년 우리경제의 성장률을 3%로 예상하고 있지만 최근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와 통상임금범위 확대, 철도파업 등의 대내외적 요인들이 기업의 경영활동 및 투자심리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어 지역 기업들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가 더욱 불투명하다”고 말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