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걱정 없는 노후 준비를 위한 연령대별 재테크 노하우
돈 걱정 없는 노후 준비를 위한 연령대별 재테크 노하우
by 운영자 2014.02.27
(3) 40대의 노후 준비

자녀와 관련된 지출이 큰 변수인 시기다. 무엇보다 사교육비가 많이 지출되는 때이므로 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가치관이 확고하게 정립돼 있어야 한다.‘남들이 하니까 나도 한다’라는 식으로 사교육비를 지출하다 보면 노후 자금이 바닥나는 건 시간문제다.
① 자녀의 교육 철학 세우기
냉정하게 말해 노후 준비의 가장 큰 장애물은 자녀들이다. 본인의 소득을 뛰어넘는 자녀교육비 투자로 노후 준비에 고통받는 상담자들이 의외로 많다.
출산과 함께 자녀를 위한 비용도 예산으로 잡아놓아야 한다.
② 체력관리도 자산
미국에서는 재무 상담을 할 때 운동 프로그램과 연계해 처방해주는 경우가 많다. 아무리 든든한 노후 대책을 세워놓았다고 해도 건강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기 때문이다.
정신적·육체적 고통과 함께 병원비 부담까지 삼중고를 겪지 않으려면 체력도 자산으로 여기고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4) 50대 이후의 노후 준비
가장의 정년퇴직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시기다. 아내는 은퇴 후 이전의 삶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남편은 눈높이를 낮춰 재취업을 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연금이 나오는 65세까지는 가진 돈을 축내지 않겠다는 각오로 생활비를 벌어야 한다.
① 창업은 신중하게
일반적으로 소액 자영업자들이 한 달 수익금으로 가져갈 수 있는 금액은 3백만원 선이다. 대다수의 자영업자들이 부부 혹은 가족이 운영한다는 점을 감안해봤을 때 1인 평균 순수입은 1백50만원 선.
그렇게라도 수입이 지속되면 다행인데, 장사가 되지 않아 적자를 보게 되면 결국 투자한 모든 돈을 잃어버리고 설상가상으로 빚까지 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시기에는 새로운 도전이나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창업보다는 적은 돈이더라도 안정된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업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최소 1년 이상의 준비 기간과 테스트 기간을 거친 뒤에 신중하게 시작하도록 한다. 기존에 하던 일과 연장선상의 일을 추천한다.
② 프랜차이즈는 협동조합 구조로
프랜차이즈 창업은 처음 시작할 때 본사에 가맹비와 인테리어 비용 등을 지불해야 한다. 또 사업을 시작한 이후에도 수익이 적어 사업이 어려워지면 그 위험 부담을 고스란히 감당해야 한다. 프랜차이즈를 하게 된다면 협동조합 형태로 된 업종이나 브랜드를 고르기를 추천한다.
본사의 이익보다는 각 조합원들의 이익에 초점을 맞춘 구조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더 큰 수익을 낸다.
행복한 노후를 위한 조언
1. 평생 할 일을 찾는다 정년퇴직 이후 재취업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일단 자신의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 월급이 절반으로 깎이는 것도 감수해야 하고, 필요하다면 무조건 서울에서 일해야 한다는 생각도 버려야 한다.
지방에 위치한 중소기업 중에는 지금껏 자신이 익힌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곳들이 상대적으로 많다.
2. 퇴직금은 금융자산에 묶어둔다 퇴직 후 사업을 시작하려다가 퇴직금을 몽땅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퇴직금은 쓰는 돈이 아니라 묻어두는 돈으로 생각하도록 한다. 퇴직금은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65세 이후에 연금과 함께 운용해서 나온 수익금으로 매달 생활비를 충당하는 데 써야 한다. 다시 말해 노후 자금의 씨앗이다.
① 자녀의 교육 철학 세우기
냉정하게 말해 노후 준비의 가장 큰 장애물은 자녀들이다. 본인의 소득을 뛰어넘는 자녀교육비 투자로 노후 준비에 고통받는 상담자들이 의외로 많다.
출산과 함께 자녀를 위한 비용도 예산으로 잡아놓아야 한다.
② 체력관리도 자산
미국에서는 재무 상담을 할 때 운동 프로그램과 연계해 처방해주는 경우가 많다. 아무리 든든한 노후 대책을 세워놓았다고 해도 건강에 문제가 생기면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기 때문이다.
정신적·육체적 고통과 함께 병원비 부담까지 삼중고를 겪지 않으려면 체력도 자산으로 여기고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4) 50대 이후의 노후 준비
가장의 정년퇴직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는 시기다. 아내는 은퇴 후 이전의 삶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받아들이고 남편은 눈높이를 낮춰 재취업을 하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연금이 나오는 65세까지는 가진 돈을 축내지 않겠다는 각오로 생활비를 벌어야 한다.
① 창업은 신중하게
일반적으로 소액 자영업자들이 한 달 수익금으로 가져갈 수 있는 금액은 3백만원 선이다. 대다수의 자영업자들이 부부 혹은 가족이 운영한다는 점을 감안해봤을 때 1인 평균 순수입은 1백50만원 선.
그렇게라도 수입이 지속되면 다행인데, 장사가 되지 않아 적자를 보게 되면 결국 투자한 모든 돈을 잃어버리고 설상가상으로 빚까지 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 시기에는 새로운 도전이나 위험을 감수해야 하는 창업보다는 적은 돈이더라도 안정된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창업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 최소 1년 이상의 준비 기간과 테스트 기간을 거친 뒤에 신중하게 시작하도록 한다. 기존에 하던 일과 연장선상의 일을 추천한다.
② 프랜차이즈는 협동조합 구조로
프랜차이즈 창업은 처음 시작할 때 본사에 가맹비와 인테리어 비용 등을 지불해야 한다. 또 사업을 시작한 이후에도 수익이 적어 사업이 어려워지면 그 위험 부담을 고스란히 감당해야 한다. 프랜차이즈를 하게 된다면 협동조합 형태로 된 업종이나 브랜드를 고르기를 추천한다.
본사의 이익보다는 각 조합원들의 이익에 초점을 맞춘 구조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더 큰 수익을 낸다.
행복한 노후를 위한 조언
1. 평생 할 일을 찾는다 정년퇴직 이후 재취업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일단 자신의 눈높이를 낮춰야 한다. 월급이 절반으로 깎이는 것도 감수해야 하고, 필요하다면 무조건 서울에서 일해야 한다는 생각도 버려야 한다.
지방에 위치한 중소기업 중에는 지금껏 자신이 익힌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곳들이 상대적으로 많다.
2. 퇴직금은 금융자산에 묶어둔다 퇴직 후 사업을 시작하려다가 퇴직금을 몽땅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퇴직금은 쓰는 돈이 아니라 묻어두는 돈으로 생각하도록 한다. 퇴직금은 아무 일도 할 수 없는 65세 이후에 연금과 함께 운용해서 나온 수익금으로 매달 생활비를 충당하는 데 써야 한다. 다시 말해 노후 자금의 씨앗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