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광양경제청, 세풍산단 개발‘속앓이’여전

광양경제청, 세풍산단 개발‘속앓이’여전

by 운영자 2014.12.23

공청회 열고 PF 지연따른 방안 제시 … 주민 반발에 당황
지역 정치권 등 잇따른 참여 요구에도 광양시 ‘요지부동’

세풍산단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이하 광양경제청)이 주민공청회를 열고 ‘PF자금 조달 지연에 따른 두 가지의 사업추진 방안’을 제시하며 주민들의 선택을 요구했다.

하지만 이날 공청회에서 광양경제청은 세풍산단 개발이 당초 계획에서 후퇴해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못함을 지적하는 지역 주민들의 호된 질책에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했다.

광양경제청은 지난 19일 오후 우윤근 국회의원 등 지역 출신 정치인과 세풍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세풍산단 개발 주민공청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광양경제청은 공청회의 핵심인 ‘PF자금 조달 지연에 따른 두 가지의 사업추진 방안’을 제시하며 주민들의 선택을 요구했다.

이 중 1안은 현재 확보한 PF자금 1225억 원으로 우선 사업을 추진하는 안이며, 2안은 전체 PF자금 3775억 원을 확보할 때까지 사업을 연기하는 것이다.

광양경제청이 밝힌 1안 추진 방법은 이미 확보된 1225억 원으로 금융약정을 체결한 후 사업을 우선 착수하는 것으로, 분양 수요에 맞춰 개발을 계속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우선 착수 부지를 조성한 후 실질 분양계약 체결 및 분양대금을 입금하는 방식이다. 이어 나머지 부지 조성에 이어 분양이 이뤄지는 방식이다.

이러한 단계적 개발 방식의 장점에 대해 광양경제청은 세풍산단의 즉시 착공이 가능하고 2550억 원의 추가 금융조달 조건의 개선을 들었다.

여기에 대선공약 및 지역 숙원사업인 기능성화학 소재사업 추진이 가능함도 장점으로 꼽았다.

반면 사업의 분리 추진으로 부분 토지보상 등 문제 발생 가능성도 큰 것으로 분석됐다.

2안은 광양시 참여 후 전체 민간투자비 3775억 원을 확보할 때까지 사업을 연기하는 것이다. 이 안은 전체 자금 확보 후 사업을 추진하는 만큼 사업의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고, 선분양의 부담도 완화할 수 있는 반면 미래에셋증권과 포스코건설 등 출자자의 이탈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민들과 약속한 내년 초 착공이 불가능하고, 광양시 참여 자체가 불확실할 경우 장기 미개발 사업으로 전략할 우려도 크며 경자법 제12조에 따라 실시계획 효력이 내년 6월 26일 이후엔 상실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같은 제안에 박성은 세풍산단추진위원장은 “오늘 열려서는 안되는 공청회가 열리고 있는데, 이해하기 어렵고 납득할 수도 없다”며 세풍산단 개발 계획이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음을 개탄했다.

그는 이어 “세풍산단 기능성화학클러스터 예산과 실시설계 용역비도 확보하고 중앙정부와 국회까지 나서 세풍산단을 개발하려는데 다 차려진 밥상도 받지 못하는 일이 여기서 벌어지고 있다”며 “공동화되어가는 광양읍권 발전과 후손을 위해 세풍산단이 개발될 수 있도록 경제청장, 시장, 의회 의원 여러분들이 협력하고 도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앞서 우윤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도 인사말을 통해 세풍산단 개발을 위한 정현복 시장의 결단을 거듭 촉구하고 나섰다.

우 대표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행안부 장관이나 대통령이 풀어야 할 사안이라면 국회의원이 나서야겠지만 세풍산단은 시장이 풀어야 한다”며 “여러분이 뽑은 시장인 만큼 시장에게 찾아가 요청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광양시는 “직접 참여는 없다”며 ‘요지부동’의 모습을 보였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