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세풍산단 개발 참여 의향 없다”밝혀
포스코 “세풍산단 개발 참여 의향 없다”밝혀
by 운영자 2013.04.04
광양 이성웅 시장 투자 요구에 포스코켐텍 난색
정준양 회장도 포스코 건설 참여 확답 안해
정준양 회장도 포스코 건설 참여 확답 안해

▲사진설명- 세풍산단 개발 관련 간담회를 갖고 있는 광양시와 광양경제청
광양 동호안에 탄소소재 사업을 추진 중인 포스코켐텍이 세풍산단에 투자할 의향이 없음을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28일 포스코켐텍 김진일 사장이 광양시를 방문, 이성웅 시장을 접견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김 사장에게 세풍산단 개발에 포스코켐텍의 투자 의향을 타진했고, 김 사장은 세풍산단 투자에 뜻이 없음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포스코켐텍은 세풍산단의 경우 광양제철소와 연접한 동호안에 비해 물류비와 지가 등 여러 가지 면에서 효율성이 낮다며 난색을 표했다.
또한 구체적인 투자에 앞서 투자자나 파트너 등과 조율해야 하고 이사회의 결정과정도 필요한 만큼 확실한 투자 약속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었다.
이어 오후 4시에 정준양 포스코 회장이 광양을 방문했고, 이 시장은 다시 포스코 건설의 세풍산단 개발 참여의향을 타진했지만 이마저도 만족할 만한 답변은 듣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확실한 기업의 투자 유치를 통해 세풍산단을 개발하려던 이 시장의 기대가 무너진 것이다.
한편 세풍산단 개발 방식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는 광양시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이 2일 오전 11시 광양시청에 만나 상호 의견을 조율했다.
광양경제청은 광양시가 세풍산단 책임분양 보증을 통해 PF자금을 발생시켜 올 상반기 안에 사업을 추진하자는 입장인 반면, 광양시는 책임분양 보증이 아닌 공동의 SPC(특수목적법인)를 구성해 법적 절차를 밟아 사업을 추진하자는 주장을 펴는 등 상호 이견을 보였다.
이날 광양시는 “세풍산단 개발에 광양경제청과 공동으로 SPC를 구성해 사업에 참여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광양경제청은 “서로의 의견을 개진하고 확인하는 자리였지 개발방식을 결정하고 합의한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회의 결과를 대하는 양측의 온도차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양 기관은 서로가 주장하는 법적 쟁점사항은 상호 재검토 후 정리하기로 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
광양 동호안에 탄소소재 사업을 추진 중인 포스코켐텍이 세풍산단에 투자할 의향이 없음을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28일 포스코켐텍 김진일 사장이 광양시를 방문, 이성웅 시장을 접견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김 사장에게 세풍산단 개발에 포스코켐텍의 투자 의향을 타진했고, 김 사장은 세풍산단 투자에 뜻이 없음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포스코켐텍은 세풍산단의 경우 광양제철소와 연접한 동호안에 비해 물류비와 지가 등 여러 가지 면에서 효율성이 낮다며 난색을 표했다.
또한 구체적인 투자에 앞서 투자자나 파트너 등과 조율해야 하고 이사회의 결정과정도 필요한 만큼 확실한 투자 약속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하지만 이것이 전부는 아니었다.
이어 오후 4시에 정준양 포스코 회장이 광양을 방문했고, 이 시장은 다시 포스코 건설의 세풍산단 개발 참여의향을 타진했지만 이마저도 만족할 만한 답변은 듣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확실한 기업의 투자 유치를 통해 세풍산단을 개발하려던 이 시장의 기대가 무너진 것이다.
한편 세풍산단 개발 방식을 놓고 이견을 보이고 있는 광양시와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이 2일 오전 11시 광양시청에 만나 상호 의견을 조율했다.
광양경제청은 광양시가 세풍산단 책임분양 보증을 통해 PF자금을 발생시켜 올 상반기 안에 사업을 추진하자는 입장인 반면, 광양시는 책임분양 보증이 아닌 공동의 SPC(특수목적법인)를 구성해 법적 절차를 밟아 사업을 추진하자는 주장을 펴는 등 상호 이견을 보였다.
이날 광양시는 “세풍산단 개발에 광양경제청과 공동으로 SPC를 구성해 사업에 참여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지만, 광양경제청은 “서로의 의견을 개진하고 확인하는 자리였지 개발방식을 결정하고 합의한 것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날 회의 결과를 대하는 양측의 온도차가 느껴지는 대목이다.
양 기관은 서로가 주장하는 법적 쟁점사항은 상호 재검토 후 정리하기로 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