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제철소-연대회의, 서로 입장차만 확인
광양제철소-연대회의, 서로 입장차만 확인
by 운영자 2013.07.15

지역현안 공동이행 TF 전체회의, 성과 없이 마무리
광양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만남은 서로의 입장차만 확인하는 자리가 되며 성과 없이 끝나고 말았다.
‘광양제철소 현안대응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연대회의’(이하 연대회의)와 광양제철소는 11일 오후 5시 광양시청 상황실에서 ‘지역현안 공동이행 TF 2차 전체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연대회의 측은 광양시장과 의장, 광양제철소장이 합의한 사항에 대해 약속이 지켜져야 하지만 광양제철소가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면 광양제철소 측은 세계 경기침체로 기업의 경영이 어려움을 부각시키면서도 포스코는 지역 전체를 위해 신의와 성실의 원칙에 입각해 노력 중임을 강조했다.
이날 양 측의 의견이 격돌한 것은 크게 4가지 분야로 △지역 하도급 확대 및 지역 물품 구매·업소 애용 △제철소 4문 개방 △포스코 투자기업의 환경영향 모니터링 실시 △동호안 제방 안전진단 등이다.
지역 하도급 확대와 관련 광양제철소 측은 납품업체 수 등은 밝혔지만 구체적인 발주 금액이냐 규모 등은 기업 비밀을 내세워 공개 불가를 밝혔다.
.
이에 김윤필 광양참여연대 상임대표는 “하도급 확대를 약속해 놓고 금액, 규모, 시스템 공개는 안하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적극 노력하겠으니 수용해 달라고 하는 것이라면 시민들의 동의를 얻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투자기업 환경영향 모니터링단 구성도 양측의 의견이 엇갈렸다.
광양제철소 측은 시청과 포스코, 연대회의, 환경 관계자 등 4명으로 제한해 구성하려는 데 반해 연대회의 측은 환경단체 관련 인사 대신 연대회의가 추천한 단체의 8명을 제안했다.
4문 개방에 대해 광양제철소 측은 “3단계로 나눠 진행하되 지역민의 통행은 용역 진행 결과를 보고 관계기관과 협의 후 조치하겠다”는 입장을 보였고, 연대회의는 “포스코에서 애초에 개방하겠다고 했던 사안”이라고 포스코를 압박했다.
이처럼 양측이 사안마다 첨예하게 대립하자 손경석 광양시 총무국장이 중재에 나섰다.
손 국장은 “오늘 자리는 상호 입장만 확인하고 결론 도출은 어려운 상황”이라며 “차기 간사 회의를 통해 상호 양보하면서 결론을 도출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후 양측은 회의를 마친 후 만찬을 함께 하려 했지만, 이마저도 불발에 그치며 양자 간에 깊은 간극이 있음을 보여줬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연대회의 관계자는 “지역현안 TF회의는 포스코가 지역과 만난다는 명분만 주고 말았다”며 “포스코에게 진정으로 지역과 소통하고 상생하려는 의지는 찾아볼 수 없었고, 전략적으로 연대회의가 포스코에 완패한 회의였다”고 평가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 zzartsosa@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