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농수산물 수출 ‘비상’
전남 농수산물 수출 ‘비상’
by 운영자 2013.09.12
7월 말까지 수출액 전년 대비 3% 감소
엔저·기후 변화 여파 원인
다각적 수출전략, 수출다변화 필요
일본 엔화 약세에 기후변화까지 겹치면서 전남 농수산물 수출 전선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다각적인 수출 전략과 수출선 다변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1일 전남도에 따르면 올 들어 7월 말까지 도내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1억6214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억6728억 달러에 비해 3.0% 감소했다.
농식품계는 4.3% 증가했으나 수산식품이 8.8%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는 부진했다.
품목별로는 신선농산물인 배가 지난해 251만 달러에서 올해 26만 달러로 89.6%나 감소했고 그 다음으로 ▲넙치 -61.4% ▲수산 가공식품 -57.3% ▲정제어유 -45.6% ▲미역 -36.3% ▲닭고기 -32.2% 순으로 줄었다.
올 초 배 주산지인 나주와 영암에 기록적인 저온현상과 강풍이 덮치면서 착과 불량 등의 피해가 확대된 게 배 수출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톳과 김치, 파프리카, 버섯류, 장류 등도 두자릿 수 감소율을 기록 중이고, 유차차도 3% 감소했다.
다행히 일본 원전사고 이후 수요가 폭증한 김과 전복, 친환경 축산물 등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수출 폭락은 막았다.
7월 한달만 놓고 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2449만 달러로 전년보다 15.0%나 감소한 가운데 파프리카, 버섯류, 김치 등 농식품은 물론 톳과 김, 전복 등의 수산식품까지 부진을 면치 못했다.
빅3 수출국 중 하나인 일본에 대한 수출액이 대부분 두자릿 수 감소율을 보이는 등 크게 둔화된 것이 전반적인 수출 저조를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 여건을 감안한 탄력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전남산 수출국이 50개 국에 이르지만 일본과 중국, 대만 등 상위 3개국이 4분의 3을 점유하고 있는 반면 FTA(자유무역협정)가 발효된 미국에 대한 수출은 10% 미만에 그쳐 “수출다변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다.
또 성장 가능성이 큰 녹차, 무화과, 매실, 멜론 등의 농산물과 천일염, 전복, 김, 미역, 다시마, 참조기 등을 중심으로 국제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엔저·기후 변화 여파 원인
다각적 수출전략, 수출다변화 필요
일본 엔화 약세에 기후변화까지 겹치면서 전남 농수산물 수출 전선에 적신호가 켜지고 있다. 다각적인 수출 전략과 수출선 다변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11일 전남도에 따르면 올 들어 7월 말까지 도내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1억6214만 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억6728억 달러에 비해 3.0% 감소했다.
농식품계는 4.3% 증가했으나 수산식품이 8.8% 감소하면서 전체적으로는 부진했다.
품목별로는 신선농산물인 배가 지난해 251만 달러에서 올해 26만 달러로 89.6%나 감소했고 그 다음으로 ▲넙치 -61.4% ▲수산 가공식품 -57.3% ▲정제어유 -45.6% ▲미역 -36.3% ▲닭고기 -32.2% 순으로 줄었다.
올 초 배 주산지인 나주와 영암에 기록적인 저온현상과 강풍이 덮치면서 착과 불량 등의 피해가 확대된 게 배 수출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톳과 김치, 파프리카, 버섯류, 장류 등도 두자릿 수 감소율을 기록 중이고, 유차차도 3% 감소했다.
다행히 일본 원전사고 이후 수요가 폭증한 김과 전복, 친환경 축산물 등의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면서 수출 폭락은 막았다.
7월 한달만 놓고 보면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2449만 달러로 전년보다 15.0%나 감소한 가운데 파프리카, 버섯류, 김치 등 농식품은 물론 톳과 김, 전복 등의 수산식품까지 부진을 면치 못했다.
빅3 수출국 중 하나인 일본에 대한 수출액이 대부분 두자릿 수 감소율을 보이는 등 크게 둔화된 것이 전반적인 수출 저조를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국내외 여건을 감안한 탄력적인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전남산 수출국이 50개 국에 이르지만 일본과 중국, 대만 등 상위 3개국이 4분의 3을 점유하고 있는 반면 FTA(자유무역협정)가 발효된 미국에 대한 수출은 10% 미만에 그쳐 “수출다변화가 무엇보다 시급하다”는 의견이 많다.
또 성장 가능성이 큰 녹차, 무화과, 매실, 멜론 등의 농산물과 천일염, 전복, 김, 미역, 다시마, 참조기 등을 중심으로 국제경쟁력을 키워나가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