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광양지역 기업들, 경기회복 기대감 ‘암울’

광양지역 기업들, 경기회복 기대감 ‘암울’

by 운영자 2014.09.29

4분기 기업경기전망지수 73.7 … 전 분기보다 29.5p 급락
실적지수마저 큰 폭 하락 … 정부 강력한 내수 진작책 필요
▲광양지역 기업들의 4분기 경기회복 기대감이 대폭 하락했다.
사진은 광양경제 양대 축의 하나인 광양항 컨테이너부두의 모습.

광양지역 기업들은 올해 4분기 경기회복에 대해 비관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양상공회의소(회장 김효수·이하 광양상의)가 지난 8월 21일부터 9월 3일까지 관내 1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광양상의는 ‘2014년 4분기 기업경기전망 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결과 4분기 전망치가 ‘73.7’로, 전분기(103.2)보다 ‘29.5’포인트 하락했다고 26일 밝혔다.

더구나 실적치마저 전분기 ‘87.1’에 비해 ‘21.1’포인트가 빠진 ‘66’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다수 기업들이 전분기에도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었음을 의미하며, 경기회복 기대감 하락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기업경기전망지수(BSI)는 기업들의 현장체감경기를 수치화한 것으로 0~200 사이로 표시된다. 100을 넘으면 이번 분기 경기가 전 분기에 비해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100미만이면 그 반대다.

응답기업의 분포를 보면 전분기보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한 기업이 전체 응답 업체 중 25.9%인 가운데, 전분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40.7%, 경기악화를 예상한 기업체는 33.4%로 조사됐다.

세부항목별 실적지수를 살펴보면 3분기 지역기업들이 대다수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4분기에도 대다수의 전망치가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내수 관련 분야(생산, 설비투자, 자금사정)에서 특히 저조할 것으로 전망돼 정부의 강력한 내수진작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 24일 발표된 최경환 경제팀의 가계소득 증대, 기업투자 인센티브 확대, 부동산 규제완화 등 41조 원 규모의 경기부양정책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63%가 ‘별다른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보았으며, ‘다소 긍정적’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33.3%로 조사됐다.

가계소득 증대세제 3대 패키지(근로소득 증대세제, 배당소득 증대세제, 기업소득 환류세제)도입, 고용창출 투자세액공제 기본공제 축소 및 추가공제 확대, 중소중견기업 가업승계 지원 개선 등을 내용으로 하는 2014년 세법개정안에 대해서는 ‘별다른 영향이 없음’ 63%, ‘다소 긍정적’ 37%로 응답했다.

대외여건들 중 경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으로는 중국경제의 둔화(59.3%),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및 금리인상 가능성(14.8%), 철강경기 둔화(14.8%),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등 신흥국 경제불안 및 지정학적 리스크(7.4%), 엔저 장기화(3.7%) 순으로 나타났다.

경영에 가장 큰 애로요인으로는 판매부진(59.3%), 인력난(14.8%), 환율불안(7.4%), 자금난(3.7%), 기업관련 정부규제(3.7%), 기타(11%)로 응답했다.

이와 관련 기업들은 4분기에 필요한 정부의 정책과제로 내수진작(78.6%)을 꼽았다. 이어 기업 자금난 해소 지원(7.1%), 기업 인력난 해소 지원(7.1%), 규제완화(3.6%), 환리스크 관리 지원(3.6%)으로 응답했다.

이같은 결과에 대해 광양상의 관계자는 “중국경제의 둔화와 내수부진에 따른 우리지역 기업의 경영환경은 매우 심각한 수준”이라며 “정부가 내수확대와 수출증진을 위한 현실적이며 지속적인 정책노력으로 기업의 투자심리와 가계의 소비심리를 회복시키는 일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말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