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충청권 유권자수, 호남 추월 … 선거구 재편론 ‘솔솔’

충청권 유권자수, 호남 추월 … 선거구 재편론 ‘솔솔’

by 운영자 2013.10.08

사상 처음 869명 추월
국회의원 정수 논의 ‘시동’


건국 이래 최초로 충청권 유권자 수가 호남권 유권자 수를 추월했다.

이에 따라 국회의원 정수를 다시 정하자는 주장이 충청권에서 나오고 있다.

6일 안전행정부 등에 따르면 9월 말 현재 충청권 4개 시·도 유권자 수(주민등록 기준)는 세종특별자치시 9만3523명, 대전광역시 119만6774명, 충남도 162만6238명, 충북도 124만9809명 등 416만6344명이다.

같은 시기 광주광역시 113만1394명, 전남도 153만9397명, 전북도 149만4684명 등 호남권 3개 시·도 유권자 수 416만5475명보다 869명 많다.

◇ 4개월 새 격차 더 벌어져
18대 대선(2012년 12월 19일) 당시 유권자 수는 충청권 410만4726명, 호남권 412만8591명으로 호남권이 2만3865명 많았다.

건국 이래 처음으로 충청권 총 인구 수가 호남을 추월한 시점은 지난 5월 말이었다.

당시 충청권 인구 수는 호남권보다 408명 많았지만 4개월 후인 9월 말엔 그 격차가 1만2904명(충청 526만3233명, 호남 525만329명)으로 벌어졌다.

◇ 인구·유권자수 격차 더 벌어질 듯
양 지역의 인구 역전현상을 이끈 원동력으론 세종시 탄생과 수도권 규제 등이 꼽힌다.

국무총리실을 비롯한 정부 부처가 세종시로 속속 이전하고 수도권 규제 이후 수도권과 붙어 있는 충청권으로 적지 않은 기업체·공공기관이 옮겨오고 있지만 호남권은 상대적으로 이런 ‘혜택’이 적기 때문이다.

내년 말까지 정부 부처의 세종시 이전작업이 마무리되고 내년 7월 거대도시 통합 청주시가 출범하는 등 충청권에 개발호재가 많아 두 지역의 인구격차는 더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 “국회의원수 조정하자”
유권자 수가 역전됨에 따라 충청지역에선 지역구 국회의원 정수를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솔솔 나오고 있다.

19대 총선(2012년 4월 11일)을 기준으로 할 때 호남권 국회의원 수(광주 8·전남 11·전북 11)는 30명, 충청권 국회의원 수(세종 1·대전 6·충남 10·충북 8)는 25명이다.

이 때문에 인구는 더 많은데 국회의원 수는 5명이나 더 적은 것은 불합리하다는 지적이 나오기 시작했다.

국회 박병석 부의장과 변재일(충북 청원) 충북도당위원장, 양승조 최고위원, 박수현 충남도당위원장, 이상민 민주당 대전시당위원장 등은 지난달 30일 국회부의장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충청지역 선거구 증설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들은 당장 국회정개특위를 구성해 선거구획정을 논의하자고 새누리당에 요구했다.

변 위원장은 “유권자 수를 선거구 획정의 기본원칙으로 삼아야 한다는 공감대를 넓혀 19대 국회가 마감되기 전에 국회의원 정수를 늘리도록 힘을 합칠 생각”이라고 말했다.

◇ 지자체도 “선거구 조정”
충청권 자치단체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지난 1일 열린 24회 충청권 행정협의회에서 염홍철 대전시장, 유한식 세종특별자치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시종 충북도지사 등 충청권 4개 시·도 단체장은 선거구를 다시 획정하고 충청지역 국회의원 정수를 늘리는데 힘을 모으자고 합의했다.

협의회에서 염 시장은 “충청권 인구가 호남지역 인구를 넘어선 만큼 잃었던 의석 수를 되찾아야 한다”고 했고 이 지사는 “국회 299석을 권역별로 다시 배분하는 문제를 정치권과 지방정부가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협의회는 선거구 재획정·국회의원 정수를 논의하는 실무위원회를 구성해 연말까지 보고서를 만든 뒤 안전행정부와 국회 정개특위 등에 건의하자고 의견을 모았다.

당장은 아니겠지만 이런 유권자 수 변화는 정치지형에도 적지 않은 변화를 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정치권 관계자는 “정치적으로 볼 때 건국 이래 대한민국 정치구도는 늘 ‘영남 대 호남’의 경쟁구도였다”며 “하지만 앞으론 충청권도 당당히 존재를 드러낼 시점이 다가올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