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광양시장 후보 경선 방식 결정 ‘어렵네’
정치, 광양시장 후보 경선 방식 결정 ‘어렵네’
by 운영자 2014.04.23
우윤근 의원, 시·도당집행위원 자격으로 지역 의견 수렴
후보자들 제각각 유리한 경선 방법 요구 … 합의 도출 실패
중앙당 결정 가능성 커지며 경선 후유증 우려도 점차 고조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광양시장 선거 공천신청자들이 제각각 자신에게 유리한 경선 방법을 요구하면서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이로써 광양시장 후보 경선 방식은 중앙당의 결정을 따라야 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경선 부작용 우려도 점차 커져가고 있다.
우윤근 국회의원은 21일 오후 3시 광양읍 국회의원 사무실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시도당집행위원 자격으로 6.4지방선거 기초단체장과 시·도의원 경선 시행규칙 설명 겸 의견 수렴의 자리를 마련했다.
이 자리에는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의 강춘석, 김재무, 김현옥, 이서기, 이정문 등 시장 예비후보자 5명과 시·도의원 예비후보 대부분이 참석했다.
시장 예비후보 5명은 경선 방법 논의에 들어갔지만 각자가 자신에게 유리한 경선 방법을 고집하며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이에 앞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최고위원회를 열어 기초단체장 경선 방법으로 4가지 안을 제시하고, 경선 방식은 지역 현실에 맞춰 적용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새정치민주연합은 △공론조사 선거인단 투표 50%와 국민여론조사 50% 합산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 50%와 국민여론조사 50% 합산 △공론조사 선거인단 투표 100% 반영 △국민여론조사 100% 반영안을 놓고 후보자간 합의를 요구하고, 합의가 안될 경우 중앙당에서 결정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날 회의에서 강춘석, 김현옥 후보는 공론조사선거인단 투표 100% 반영을 주장했고, 김재무, 이서기 후보는 국민여론조사 100%, 이정문 후보는 공론조사선거인단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 합산을 선호해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후보는 “우윤근 국회의원이 지역 후보자들의 의견만을 수렴하는 자리였다”면서도 “마치 ‘한지붕 두가족’처럼 후보들 각자 유리한 방식을 주장하면서 합의는 어려울 것이란 느낌을 받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결국 지역에서 원만하고 조속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새정치민주연합 중앙당은 광양시장 후보 경선 방법을 직접 결정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중앙당의 경선 방법 결정은 각자 자신들에게 유리한 경선 방법을 요구하는 일부 후보들의 반발을 불러올 가능성도 커 자칫 탈당사태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구나 세월호 사고로 정치 일정이 중단되면서 그만큼 경선 일정도 촉박해진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시간이 촉박할 경우 다양한 후보들의 입장을 담보할 경선 방식을 찾기에 제약이 따르며 또 다른 불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경선 후유증은 4년 전 민주당의 기초단체장 선거 패배의 경험과 맞닿으며 광양시 새정치민주연합 측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측은 “경선 후유증을 예방하기 위해 후보들이 뜻을 모은 경선 방법을 채택하고 선관위에 위탁해 경선관리를 할 것”이라며 “최대한 공정성을 담보할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후보자들 제각각 유리한 경선 방법 요구 … 합의 도출 실패
중앙당 결정 가능성 커지며 경선 후유증 우려도 점차 고조
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광양시장 선거 공천신청자들이 제각각 자신에게 유리한 경선 방법을 요구하면서 합의 도출에 실패했다.
이로써 광양시장 후보 경선 방식은 중앙당의 결정을 따라야 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경선 부작용 우려도 점차 커져가고 있다.
우윤근 국회의원은 21일 오후 3시 광양읍 국회의원 사무실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시도당집행위원 자격으로 6.4지방선거 기초단체장과 시·도의원 경선 시행규칙 설명 겸 의견 수렴의 자리를 마련했다.
이 자리에는 새정치민주연합 소속의 강춘석, 김재무, 김현옥, 이서기, 이정문 등 시장 예비후보자 5명과 시·도의원 예비후보 대부분이 참석했다.
시장 예비후보 5명은 경선 방법 논의에 들어갔지만 각자가 자신에게 유리한 경선 방법을 고집하며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
이에 앞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최고위원회를 열어 기초단체장 경선 방법으로 4가지 안을 제시하고, 경선 방식은 지역 현실에 맞춰 적용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새정치민주연합은 △공론조사 선거인단 투표 50%와 국민여론조사 50% 합산 △권리당원 선거인단 투표 50%와 국민여론조사 50% 합산 △공론조사 선거인단 투표 100% 반영 △국민여론조사 100% 반영안을 놓고 후보자간 합의를 요구하고, 합의가 안될 경우 중앙당에서 결정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날 회의에서 강춘석, 김현옥 후보는 공론조사선거인단 투표 100% 반영을 주장했고, 김재무, 이서기 후보는 국민여론조사 100%, 이정문 후보는 공론조사선거인단투표 50%+국민여론조사 50% 합산을 선호해 결국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 후보는 “우윤근 국회의원이 지역 후보자들의 의견만을 수렴하는 자리였다”면서도 “마치 ‘한지붕 두가족’처럼 후보들 각자 유리한 방식을 주장하면서 합의는 어려울 것이란 느낌을 받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결국 지역에서 원만하고 조속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새정치민주연합 중앙당은 광양시장 후보 경선 방법을 직접 결정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중앙당의 경선 방법 결정은 각자 자신들에게 유리한 경선 방법을 요구하는 일부 후보들의 반발을 불러올 가능성도 커 자칫 탈당사태까지 우려되는 상황이다.
더구나 세월호 사고로 정치 일정이 중단되면서 그만큼 경선 일정도 촉박해진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시간이 촉박할 경우 다양한 후보들의 입장을 담보할 경선 방식을 찾기에 제약이 따르며 또 다른 불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경선 후유증은 4년 전 민주당의 기초단체장 선거 패배의 경험과 맞닿으며 광양시 새정치민주연합 측이 가장 우려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측은 “경선 후유증을 예방하기 위해 후보들이 뜻을 모은 경선 방법을 채택하고 선관위에 위탁해 경선관리를 할 것”이라며 “최대한 공정성을 담보할 장치를 마련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