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전남도 ‘4대강 바로잡기’ 추진
광주시·전남도 ‘4대강 바로잡기’ 추진
by 운영자 2014.07.03
윤장현·이낙연 “수질 악화 영산강 복원 재자연화”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가 4대강 사업으로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영산강의 복원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자치단체가 박근혜 정부의 조치를 기다리지 않고 4대강 사업의 폐해를 직접 시정하는 행동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윤 시장과 이 지사의 인수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발간한 최종보고서에 사업과제로 ‘영산강 재자연화 추진’을 포함시켰다.
양측 인수위는 “영산강은 광주·전남의 젖줄이자 상징이지만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으로 강의 ‘흐르는 기능’을 상실했고 수질 악화와 생태계 파괴 등 피해가 발생했다”면서 “현 정부에서 4대강 사업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활동하고 있지만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담양에서 발원해 광주를 거쳐 전남 서남쪽으로 흐르는 영산강에는 4대강 사업으로 승촌보와 죽산보가 조성되면서 수질이 급속히 악화됐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우선 현장 실태조사를 거쳐 자치단체 차원의 자구책을 추진하는 한편 정부와도 협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보 해체 등 강 복원을 위한 핵심 작업은 정부의 결정사항이어서 자치단체들의 움직임이 의미 있는 성과로 이어질 것인지는 지켜봐야 한다.
윤장현 광주시장과 이낙연 전남지사가 4대강 사업으로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영산강의 복원을 공동 추진하기로 했다.
자치단체가 박근혜 정부의 조치를 기다리지 않고 4대강 사업의 폐해를 직접 시정하는 행동에 나서기로 한 것이다.
윤 시장과 이 지사의 인수위원회는 지난달 30일 발간한 최종보고서에 사업과제로 ‘영산강 재자연화 추진’을 포함시켰다.
양측 인수위는 “영산강은 광주·전남의 젖줄이자 상징이지만 이명박 정부의 4대강 사업으로 강의 ‘흐르는 기능’을 상실했고 수질 악화와 생태계 파괴 등 피해가 발생했다”면서 “현 정부에서 4대강 사업 조사위원회를 구성해 활동하고 있지만 가시적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담양에서 발원해 광주를 거쳐 전남 서남쪽으로 흐르는 영산강에는 4대강 사업으로 승촌보와 죽산보가 조성되면서 수질이 급속히 악화됐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우선 현장 실태조사를 거쳐 자치단체 차원의 자구책을 추진하는 한편 정부와도 협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다만, 보 해체 등 강 복원을 위한 핵심 작업은 정부의 결정사항이어서 자치단체들의 움직임이 의미 있는 성과로 이어질 것인지는 지켜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