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백운산국립공원추진위 “지역 정치권에 서운”

백운산국립공원추진위 “지역 정치권에 서운”

by 운영자 2014.11.21

국립공원 추진과정 불만 기자회견서 강도 높은 비판
광양시장·의회·국회의원 차례로 거명 “최선 다하라”

▲ 백운산국립공원지정추진위원회가 20일 오후 광양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오는 12월 4일 상경집회를 계획 중인 ‘백운산국립공원지정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광양시장, 의회, 국회의원 등 지역 정치권에 서운함을 토로했다.

추진위는 20일 오후 2시 광양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촉구를 위해 오는 12월 4일 대규모 상경 목요 집회를 개최한다”며 “앞으로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추진위의 모든 권한과 책임은 20일 저녁 목요집회를 끝으로 광양시에 위임한다”고 밝혔다.

특히 추진위는 광양시와 시장, 광양시의회, 도지사와 국회의원을 차례로 거론하며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 운동과 관련된 쓴소리를 쏟아냈다.

광양시와 시장에게는 “백운산을 지켜내기 위한 시민사회의 힘겨운 노력을 방관했다”고 날카롭게 지적하고 “이제부터라도 광양시장은 위민행정의 진중한 소명을 다하라”고 강조했다.

광양시의회에는 “백운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켜내기 위한 최선의 노력으로 조례를 제정해 조례에 근거한 (국립공원 지정 추진)예산을 세워 집행할 것”을 요구했다.

선거공약으로 국립공원 지정을 약속한 전남도지사와 우윤근 국회의원에게는 “선거 공약대로 국립공원 지정을 위해 책임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라”고 촉구했다.

하지만 추진위는 20일 저녁 목요집회 종료가 백운산 국립공원 추진운동의 중단으로 이해돼서는 결코 안된다고 섣부른 예단을 경계했다.

이경재 추진위 실무위원장은 “오는 12월 4일 상경 목요집회를 계획한 것만으로도 중단은 결코 아니다”며 “그동안 추진위에서 해왔던 각종 활동을 앞으로는 행정에서 주도적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그동안 할 수 있는 시민사회의 노력을 다 했지만 권한도 예산도 없는 시민사회가 일하면서 고난과 역경이 많았다”고 밝혀 행정과의 협조가 원활치 않았음을 우회적으로 내비쳤다.

보충설명에 나선 정용성 대표는 “포괄적인 행정의 역할을 요구하는 것으로, 행정이 못하는 부분은 시민사회가 나설 것”이라고 밝혀 시민사회와 행정의 간극이 벌어지는 것을 경계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서는 서울대와 정부에 대한 성토도 이어졌다.

추진위는 “법인 서울대학교는 백운산 무상양도 주장을 즉각 포기하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2010년 12월 8일 국회에서 날치기로 통과된 서울대법인화법 제정을 계기로 국가 소유인 백운산을 서울대 법인 재산으로 등기 이전해 영구히 독점하려는 시도는 정당하지 않으며, 국가와 광양시 그리고 서울대를 위해서도 결코 옳은 선택이 아니라는 것.

또한 정부에는 “국유재산을 지키고 보호해야 할 정부는 주민합의에 의해 요구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수순을 즉각 밟아 시민의 요구에 답하라”고 강력하게 요구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