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의회“광양항 죽이기 즉각 중단”결의문 채택
광양시의회“광양항 죽이기 즉각 중단”결의문 채택
by 운영자 2013.05.10
윤진숙 해수부장관 광양 방문 시기에 맞춰 발표
‘투-포트 항만 정책’지속 … 광양항 활성화 요구
‘투-포트 항만 정책’지속 … 광양항 활성화 요구

▲사진설명- 광양항 1단계 컨테이너 부두의 모습
광양시의회(의장 이정문)가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의 광양항 방문에 맞춰 공식적인 면담 요청과 더불어 국가차원의 획기적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기로 하는 등 광양항 살리기에 발벗고 나섰다.
광양시와 의회에 따르면 내일(11일)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이 광양항을 방문한다. 윤 장관은 이날 여수공항을 거쳐 광양의 모 식당에서 지역 수산단체장과 오찬을 함께 한다. 이후 여수광양항만공사로 자리를 옮겨 전망대와 컨테이너터미널을 시찰한다.
이와 관련 광양시의회는 정부의 광양항 포기 정책에 대한 광양만권의 분노를 전달하기 위해 지난 8일 해양수산부에 의장과 윤 장관의 별도 면담을 요청했다.
하지만 해양수산부는 장관 일정상 별도의 시간 할애는 어렵다는 입장을 통보했다.
다만 여수광양항만공사 사장실에서 있을 예정인 미팅에는 함께 참석할 수 있다는 답변을 보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는 별도로 광양시의회는 오늘(10일) 개회하는 제220회 임시회에서 ‘광양항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 반영 촉구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이다.
결의안에는 △부산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광양항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획기적인 지원책을 강구할 것 △해양수산부 장관은 부산항-광양항 투-포트 항만정책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이고 납득할 만한 종합대책을 즉각 제시할 것 △광양시의회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정부의 ‘광양항 죽이기’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끝까지 저지할 것이란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19일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광양-부산 양항체제인 이른바 ‘투포트 정책’을 사실상 포기하고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개발전략을 제시해 지역 정치권과 전남도민, 특히 광양만권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우윤근 의원은 지난달 22일 해수부 부활에 따른 광양항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실망감과 우려로 나타나고 있다며 박근혜 정부측에 광양항 물류 활성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전남도의회도 지난달 30일 결의안을 채택하고 “국가 미래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광양항과 부산항을 함께 개발하는 투-포트( Two-port) 항만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광양항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
광양시의회(의장 이정문)가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의 광양항 방문에 맞춰 공식적인 면담 요청과 더불어 국가차원의 획기적 지원책 마련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기로 하는 등 광양항 살리기에 발벗고 나섰다.
광양시와 의회에 따르면 내일(11일)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이 광양항을 방문한다. 윤 장관은 이날 여수공항을 거쳐 광양의 모 식당에서 지역 수산단체장과 오찬을 함께 한다. 이후 여수광양항만공사로 자리를 옮겨 전망대와 컨테이너터미널을 시찰한다.
이와 관련 광양시의회는 정부의 광양항 포기 정책에 대한 광양만권의 분노를 전달하기 위해 지난 8일 해양수산부에 의장과 윤 장관의 별도 면담을 요청했다.
하지만 해양수산부는 장관 일정상 별도의 시간 할애는 어렵다는 입장을 통보했다.
다만 여수광양항만공사 사장실에서 있을 예정인 미팅에는 함께 참석할 수 있다는 답변을 보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는 별도로 광양시의회는 오늘(10일) 개회하는 제220회 임시회에서 ‘광양항 활성화를 위한 정부 정책 반영 촉구 결의안’을 채택할 예정이다.
결의안에는 △부산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광양항 활성화를 위해 국가적인 차원에서 획기적인 지원책을 강구할 것 △해양수산부 장관은 부산항-광양항 투-포트 항만정책의 실현을 위한 구체적이고 납득할 만한 종합대책을 즉각 제시할 것 △광양시의회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정부의 ‘광양항 죽이기’를 좌시하지 않을 것이며, 끝까지 저지할 것이란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달 19일 청와대 업무보고에서 광양-부산 양항체제인 이른바 ‘투포트 정책’을 사실상 포기하고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개발전략을 제시해 지역 정치권과 전남도민, 특히 광양만권 주민들의 거센 반발을 사고 있다.
우윤근 의원은 지난달 22일 해수부 부활에 따른 광양항 활성화에 대한 기대가 실망감과 우려로 나타나고 있다며 박근혜 정부측에 광양항 물류 활성화를 촉구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전남도의회도 지난달 30일 결의안을 채택하고 “국가 미래와 국토 균형발전을 위해 광양항과 부산항을 함께 개발하는 투-포트( Two-port) 항만정책을 일관되게 유지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광양항 활성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