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시의회 시정질문근로자 기능향상 교육=황금알을 낳는 사업
광양시의회 시정질문근로자 기능향상 교육=황금알을 낳는 사업
by 운영자 2013.07.22
백성호 의원 “3억 원 투자해 10억 원 버는 사업”
실제 임금 상승 효과 …‘상설기능학교’설립 운영해야
실제 임금 상승 효과 …‘상설기능학교’설립 운영해야

▲사진설명- 19일 개최된 광양시의회 제222회 정례회에서 백성호 의원이 시정질문을 펼치고 있다.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직업능력개발을 담당할 ‘상설 기능학교’ 건립 필요성이 제기됐다.
백성호 광양시의원은 19일 열린 제222회 광양시의회 정례회 시정질문에서 플랜트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기능향상 교육을 통한 임금 인상 효과를 강조했다.
백 의원은 “기능향상 교육을 받은 시민들이 현장에 투입됐을 때 임금 인상 효과가 투자대비 3배 이상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백 의원은 “전국플랜트노조 전동경서지부가 시행한 ‘플랜트건설 기능훈련사업’의 경우 2009년 국비 2억 5000만 원, 시비 900만 원, 자부담 6400만 원 등 3억 2000만 원을 투입해 207명의 기능인력이 수료·취업했다”며 “2012년 노사간 임금협약서를 참고해보면 기계설치 조공 A급이 바로 윗 단계인 기능공 B급으로 상향됐을 때 일 2만 원 정도의 임금인상이 있었다”고 말했다.
월평균 20일 근무를 기준했을 때 연간 480만 원의 임금 인상효과가 있으며, 207명을 합산하면 모두 9억 9000만 원에 달한다는 것.
백 의원은 “3억 원을 투자해 10억 원 가까운 효과를 내는 기능향상 교육이야말로 시민의 입장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나 마찬가지”라며 “시가 기능향상 교육을 위한 ‘상설 기능학교’를 설립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덧붙여 백 의원은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 제4조와 제20조에 국가나 지자체가 근로자 교육지원 시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시의 노력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강복중 광양시 경제복지국장은 “정부의 기능교육 관련 국비 지원 기조가 과거 재직자교육 중심에서 실업자 구제로 방향이 바뀌며 (기능인력 교육에)국비 지원이 안될 상황이다”며 “플랜트 기능인력의 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만큼 국도비 확보 등에 노력하되 여의치 않을 경우 시책사업비 마련도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백 의원의 발언은 실제 시민들이 목말라하고 꼭 필요로 하는 사업에 예산을 사용하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실제 건설플랜트 현장 근로자들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하루 종일 뙤약볕 아래에서 일하고, 기능향상 교육장을 찾아와 매일 3시간 정도를 투자한다.
이들은 5시 현장 업무를 마치고 교육장을 찾는데 저녁을 거르는 일도 허다하다. 이곳에서 교육생을 모집하면 공고 후 30분 만에 마감될 정도로 인기가 높은데, 교육생 수는 예산 지원 규모에 비례한다.
한편 이날 시정질문이 펼쳐진 광양시의회 본회의장에는 현재 사용자측과 2013년도 임금 및 단체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건설플랜트노조 전동경서지부 소속 노조원들이 참석해 백 의원의 시정질문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의 직업능력개발을 담당할 ‘상설 기능학교’ 건립 필요성이 제기됐다.
백성호 광양시의원은 19일 열린 제222회 광양시의회 정례회 시정질문에서 플랜트 건설현장 근로자들의 기능향상 교육을 통한 임금 인상 효과를 강조했다.
백 의원은 “기능향상 교육을 받은 시민들이 현장에 투입됐을 때 임금 인상 효과가 투자대비 3배 이상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백 의원은 “전국플랜트노조 전동경서지부가 시행한 ‘플랜트건설 기능훈련사업’의 경우 2009년 국비 2억 5000만 원, 시비 900만 원, 자부담 6400만 원 등 3억 2000만 원을 투입해 207명의 기능인력이 수료·취업했다”며 “2012년 노사간 임금협약서를 참고해보면 기계설치 조공 A급이 바로 윗 단계인 기능공 B급으로 상향됐을 때 일 2만 원 정도의 임금인상이 있었다”고 말했다.
월평균 20일 근무를 기준했을 때 연간 480만 원의 임금 인상효과가 있으며, 207명을 합산하면 모두 9억 9000만 원에 달한다는 것.
백 의원은 “3억 원을 투자해 10억 원 가까운 효과를 내는 기능향상 교육이야말로 시민의 입장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나 마찬가지”라며 “시가 기능향상 교육을 위한 ‘상설 기능학교’를 설립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덧붙여 백 의원은 “근로자 직업능력 개발법 제4조와 제20조에 국가나 지자체가 근로자 교육지원 시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시의 노력을 강조했다.
이에 대해 강복중 광양시 경제복지국장은 “정부의 기능교육 관련 국비 지원 기조가 과거 재직자교육 중심에서 실업자 구제로 방향이 바뀌며 (기능인력 교육에)국비 지원이 안될 상황이다”며 “플랜트 기능인력의 교육의 필요성에 공감하는 만큼 국도비 확보 등에 노력하되 여의치 않을 경우 시책사업비 마련도 검토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백 의원의 발언은 실제 시민들이 목말라하고 꼭 필요로 하는 사업에 예산을 사용하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실제 건설플랜트 현장 근로자들은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기 위해 하루 종일 뙤약볕 아래에서 일하고, 기능향상 교육장을 찾아와 매일 3시간 정도를 투자한다.
이들은 5시 현장 업무를 마치고 교육장을 찾는데 저녁을 거르는 일도 허다하다. 이곳에서 교육생을 모집하면 공고 후 30분 만에 마감될 정도로 인기가 높은데, 교육생 수는 예산 지원 규모에 비례한다.
한편 이날 시정질문이 펼쳐진 광양시의회 본회의장에는 현재 사용자측과 2013년도 임금 및 단체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건설플랜트노조 전동경서지부 소속 노조원들이 참석해 백 의원의 시정질문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