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즐겁게, 세상 속으로] ①순천시장애인탁구협회
[함께, 즐겁게, 세상 속으로] ①순천시장애인탁구협회
by 이보람 기자 shr5525@hanmail.net 2019.01.29
“재활 위해 시작한 탁구로 다시 꿈꿔요”
회원 30여명 ... 1/3은 ‘선수’ 목표로
운동 공간 지하에 ... 환경 개선 ‘시급’
회원 30여명 ... 1/3은 ‘선수’ 목표로
운동 공간 지하에 ... 환경 개선 ‘시급’
▲순천시장애인탁구협회
“톡~ 탁 톡탁 톡탁”
탁구대 양 쪽을 쉼 없이 오가는 탁구공이 만들어내는 경쾌한 리듬감.
3개의 탁구대에서 들려오는 각각의 타구 소리는 서로 맞물려 화음을 이루고, 그 위로 이따금씩 기합과 탄식 소리가 얹어진다.
‘순천시장애인탁구협회(회장 오이종·이하 협회)’ 회원들이 땀으로 빚어낸 이 음악은 순천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지하 1층 장애인 탁구장에서 매일같이 들을 수 있다.
협회는 지난 2004년 순천지역 장애인 탁구 선수들의 동호회 활동을 시작으로, 2009년 6월 정식 창단했다.
회원 수는 30여 명으로, 지체장애(골격, 근육, 신경계 중 어느 부분에 질병이나 외상으로 인한 신체기능 장애가 영구적으로 남은 상태) 1급 장애인들로 이뤄져있다.
지체장애는 선천적 원인보다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 후천적 요인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회원들이 협회 활동을 시작한 목적은 ‘재활’이 대부분.
하지만 청소년이나 청년층의 경우 어느 정도 실력을 갖추게 되면 국가대표 선수를 꿈꾸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협회의 1/3에 해당하는 회원 10여 명이 선수를 목표로 훈련에 매진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높은 50~60대는 생활체육의 성격이 강하다고.
장애인 탁구라고 해도 사용하는 탁구채나 탁구대는 동일하다.
경기 규정도 대체로 비슷하나, 장애 유형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는 있다.
“톡~ 탁 톡탁 톡탁”
탁구대 양 쪽을 쉼 없이 오가는 탁구공이 만들어내는 경쾌한 리듬감.
3개의 탁구대에서 들려오는 각각의 타구 소리는 서로 맞물려 화음을 이루고, 그 위로 이따금씩 기합과 탄식 소리가 얹어진다.
‘순천시장애인탁구협회(회장 오이종·이하 협회)’ 회원들이 땀으로 빚어낸 이 음악은 순천올림픽기념국민생활관 지하 1층 장애인 탁구장에서 매일같이 들을 수 있다.
협회는 지난 2004년 순천지역 장애인 탁구 선수들의 동호회 활동을 시작으로, 2009년 6월 정식 창단했다.
회원 수는 30여 명으로, 지체장애(골격, 근육, 신경계 중 어느 부분에 질병이나 외상으로 인한 신체기능 장애가 영구적으로 남은 상태) 1급 장애인들로 이뤄져있다.
지체장애는 선천적 원인보다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 후천적 요인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회원들이 협회 활동을 시작한 목적은 ‘재활’이 대부분.
하지만 청소년이나 청년층의 경우 어느 정도 실력을 갖추게 되면 국가대표 선수를 꿈꾸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협회의 1/3에 해당하는 회원 10여 명이 선수를 목표로 훈련에 매진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연령대가 높은 50~60대는 생활체육의 성격이 강하다고.
장애인 탁구라고 해도 사용하는 탁구채나 탁구대는 동일하다.
경기 규정도 대체로 비슷하나, 장애 유형에 따라 조금씩의 차이는 있다.
▲한 회원이 장애로 인해 탁구채를 제대로 쥘 수 없어 손과 탁구채를 붕대로 묶어 고정한 모습.
장애인 탁구 경기에는 뇌병변장애, 절단 및 기타장애, 척수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여한다.
장애 유형에 따라 1~5등급(좌식)의 선수들은 휠체어에 앉아서, 6~10등급의 선수들은 입식(立式) 상태로 경기를 진행한다.
특히, 복식 경기는 두 선수가 교대로 공을 쳐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휠체어를 타고 복식 경기를 진행할 경우에는 한 선수가 여러 차례 공을 쳐도 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숫자가 낮을수록 장애 정도가 심한데, ‘1등급’부터 ‘2등급’까지는 허리를 쓸 수 없어 자세 균형 유지가 어렵고, 탁구채를 쥘 수 없어 손과 탁구채를 붕대로 묶어 고정한 상태에서 경기에 임한다.
연령대는 12세부터 65세까지, 탁구 경력은 최단 10개월부터 최장 15년까지 다양하다.
이들은 오영종 국장, 우은선 사무국장, 김현준 코치의 지도 아래 매일 하루 5~6시간가량을 탁구 실력을 연마하는 데 쏟고 있다.
더불어, 각종 장애인체육대회에도 꾸준히 출전해 다수의 입상 실적을 거두고 있다.
지난해에만 국제대회인 ‘코파탱고 장애인탁구 오픈대회’ 은메달, ‘광주광역시 전국장애인탁구대회’ 복식 금메달, ‘전국장애인탁구종합선수권대회’ 동메달 등을 수상해 실력을 입증했다.
장애인 탁구 경기에는 뇌병변장애, 절단 및 기타장애, 척수장애를 가진 선수들이 참여한다.
장애 유형에 따라 1~5등급(좌식)의 선수들은 휠체어에 앉아서, 6~10등급의 선수들은 입식(立式) 상태로 경기를 진행한다.
특히, 복식 경기는 두 선수가 교대로 공을 쳐야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휠체어를 타고 복식 경기를 진행할 경우에는 한 선수가 여러 차례 공을 쳐도 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숫자가 낮을수록 장애 정도가 심한데, ‘1등급’부터 ‘2등급’까지는 허리를 쓸 수 없어 자세 균형 유지가 어렵고, 탁구채를 쥘 수 없어 손과 탁구채를 붕대로 묶어 고정한 상태에서 경기에 임한다.
연령대는 12세부터 65세까지, 탁구 경력은 최단 10개월부터 최장 15년까지 다양하다.
이들은 오영종 국장, 우은선 사무국장, 김현준 코치의 지도 아래 매일 하루 5~6시간가량을 탁구 실력을 연마하는 데 쏟고 있다.
더불어, 각종 장애인체육대회에도 꾸준히 출전해 다수의 입상 실적을 거두고 있다.
지난해에만 국제대회인 ‘코파탱고 장애인탁구 오픈대회’ 은메달, ‘광주광역시 전국장애인탁구대회’ 복식 금메달, ‘전국장애인탁구종합선수권대회’ 동메달 등을 수상해 실력을 입증했다.
▲회원들의 운동 모습.
우은선 사무국장은 “회원 대부분이 운동을 시작하고 나서 심신이 건강해지는 것은 물론, 가정 분위기도 더 밝아졌다고들 말한다”며 “탁구를 접한 뒤 ‘선수’의 꿈을 갖게 된 친구들이 국가대표가 돼 패럴림픽까지 출전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현재의 목표”라고 말했다.
하지만 더 좋은 환경과 혜택이 제공되는 지역으로 떠나는 이들이 많아 걱정이라고.
현재 협회의 운동 공간은 놓을 수 있는 탁구대의 최대 수가 3개에 불과할 만큼 협소한데다,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렵고 접근성도 좋지 않은 지하에 위치해 환경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우 사무국장은 “팔마국민체육센터에 장애인 탁구장이 마련되면 지상에서 운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며 “대회 출전비용이나 운동용품 등에 대한 선수들의 부담이 큰데, 이에 대한 지원도 더욱 확대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혔다.
우은선 사무국장은 “회원 대부분이 운동을 시작하고 나서 심신이 건강해지는 것은 물론, 가정 분위기도 더 밝아졌다고들 말한다”며 “탁구를 접한 뒤 ‘선수’의 꿈을 갖게 된 친구들이 국가대표가 돼 패럴림픽까지 출전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현재의 목표”라고 말했다.
하지만 더 좋은 환경과 혜택이 제공되는 지역으로 떠나는 이들이 많아 걱정이라고.
현재 협회의 운동 공간은 놓을 수 있는 탁구대의 최대 수가 3개에 불과할 만큼 협소한데다,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렵고 접근성도 좋지 않은 지하에 위치해 환경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다.
우 사무국장은 “팔마국민체육센터에 장애인 탁구장이 마련되면 지상에서 운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며 “대회 출전비용이나 운동용품 등에 대한 선수들의 부담이 큰데, 이에 대한 지원도 더욱 확대됐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