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람회장 내 헬륨기구 체험장 사업 ‘취소’
박람회장 내 헬륨기구 체험장 사업 ‘취소’
by 운영자 2013.02.28
공모업체 없고, 시의회 등 반대 여론 작용
수개월째 사업 추진 ‘허사’ … 행정력 낭비
정원박람회 개막 50여일을 앞두고 순천시가 추진한 박람회장 내 헬륨기구 체험장 사업은 사실상 물건너 갔다.
그러나 박람회 개최를 코앞에 두고 수개월 동안 추진해 온 헬륨기구 사업이 취소되면서 결국 행정력만 낭비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26일, 시는 헬륨기구 체험장 운영을 위한 민자유치 공모에 나섰지만, 마지막 날인 25일까지 참여한 업체가 한 곳도 없어 사업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시는 당초 재공고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거세고, 박람회 개막까지 시간도 부족해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헬륨기구를 운영하는 전국의 2개(포항, 제주) 업체가 경기불황으로 사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재추진은 무리라고 판단한 것도 중단 이유라는 얘기도 들려오고 있다.
헬륨기구는 수직으로 150m의 지주대를 세워 헬륨가스를 주입해 만든 기구를 타고 한 차례에 15분가량 오르내리면서 박람회장 전경을 조망하는 시설이다.
하지만 시민사회단체 등 시의회는 정원박람회 성격과 맞지 않다며 사업 추진부터 일제히 반대하고 나섰다.
특히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이 부결되자 시는 최근 시의회의 동의 절차가 필요 없는 유상 임대로 변경해 사업을 계속 추진해 물의를 빚었다.
이에 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25일 긴급 위원회를 개최하고 박람회장 내 헬륨기구 체험장 사업을 중단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이날 이종철 행자위원장은 “시가 당초 기본계획에 없던 놀이시설을 박람회장 조성공사가 93%의 공정을 보이는 상황에서 느닷없이 들고나와 반대했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조용하게 국내외 유명 정원과 호수의 진수를 즐기려는 관람객들에게 공중에서 소란과 함께 물체가 떠다니는 광경을 보이는 것은 박람회 본질을 훼손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또 지역 시민사회단체도 시의회와 함께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날 순천환경운동연합과 순천YMCA 등 7개 시민사회·환경단체들도 ‘순천정원박람회는 과연 생태박람회가 맞는가?’ 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반대 뜻을 밝혔다.
특히 헬륨기구 체험장 1000여평 부지에 대해 기반 조성비 3억을 시가 부담하고 설상가상으로 임대료마저 공시지가로 결정한 사실이 알려져 특혜시비 논란까지 제기됐다.
이런 상황에도 시는 헬륨기구 체험장 추진을 강행했지만 결국 사업을 제안한 업체도 공모에 참여하지 않아 결국 무산된 것이다.
시 관계자는 “헬륨기구 체험장은 박람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추진한 사업으로 가족단위나 학생들의 모험심을 길러주고 인근 동천, 순천만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생태 체험장으로 단순한 놀이시설로 폄하하는 것은 잘못된 시각이다”며 “하지만 공모에 참여한 업체가 없으며, 시간도 부족하고 반대 여론이 심해 사업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교차로신문사/ 김회진 기자 kimhj0031@hanmail.net]
수개월째 사업 추진 ‘허사’ … 행정력 낭비
정원박람회 개막 50여일을 앞두고 순천시가 추진한 박람회장 내 헬륨기구 체험장 사업은 사실상 물건너 갔다.
그러나 박람회 개최를 코앞에 두고 수개월 동안 추진해 온 헬륨기구 사업이 취소되면서 결국 행정력만 낭비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지난 26일, 시는 헬륨기구 체험장 운영을 위한 민자유치 공모에 나섰지만, 마지막 날인 25일까지 참여한 업체가 한 곳도 없어 사업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시는 당초 재공고 여부를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지만, 시의회와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거세고, 박람회 개막까지 시간도 부족해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헬륨기구를 운영하는 전국의 2개(포항, 제주) 업체가 경기불황으로 사업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 재추진은 무리라고 판단한 것도 중단 이유라는 얘기도 들려오고 있다.
헬륨기구는 수직으로 150m의 지주대를 세워 헬륨가스를 주입해 만든 기구를 타고 한 차례에 15분가량 오르내리면서 박람회장 전경을 조망하는 시설이다.
하지만 시민사회단체 등 시의회는 정원박람회 성격과 맞지 않다며 사업 추진부터 일제히 반대하고 나섰다.
특히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이 부결되자 시는 최근 시의회의 동의 절차가 필요 없는 유상 임대로 변경해 사업을 계속 추진해 물의를 빚었다.
이에 시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25일 긴급 위원회를 개최하고 박람회장 내 헬륨기구 체험장 사업을 중단할 것을 강력하게 촉구했다.
이날 이종철 행자위원장은 “시가 당초 기본계획에 없던 놀이시설을 박람회장 조성공사가 93%의 공정을 보이는 상황에서 느닷없이 들고나와 반대했다”고 말했다.
이 위원장은 “조용하게 국내외 유명 정원과 호수의 진수를 즐기려는 관람객들에게 공중에서 소란과 함께 물체가 떠다니는 광경을 보이는 것은 박람회 본질을 훼손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또 지역 시민사회단체도 시의회와 함께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날 순천환경운동연합과 순천YMCA 등 7개 시민사회·환경단체들도 ‘순천정원박람회는 과연 생태박람회가 맞는가?’ 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반대 뜻을 밝혔다.
특히 헬륨기구 체험장 1000여평 부지에 대해 기반 조성비 3억을 시가 부담하고 설상가상으로 임대료마저 공시지가로 결정한 사실이 알려져 특혜시비 논란까지 제기됐다.
이런 상황에도 시는 헬륨기구 체험장 추진을 강행했지만 결국 사업을 제안한 업체도 공모에 참여하지 않아 결국 무산된 것이다.
시 관계자는 “헬륨기구 체험장은 박람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추진한 사업으로 가족단위나 학생들의 모험심을 길러주고 인근 동천, 순천만까지 한눈에 볼 수 있는 생태 체험장으로 단순한 놀이시설로 폄하하는 것은 잘못된 시각이다”며 “하지만 공모에 참여한 업체가 없으며, 시간도 부족하고 반대 여론이 심해 사업을 포기했다”고 말했다.
[교차로신문사/ 김회진 기자 kimhj0031@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