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만 정원박람회 유치과정에서 개막까지
순천만 정원박람회 유치과정에서 개막까지
by 운영자 2013.04.19
2009년 9월 스페인 사라고사 AIPH 제61차 총회에서 만장일치 승인
63만7000㎡ 부지에 11개국 세계 전통정원, 습지센터 등 4년간 준비
63만7000㎡ 부지에 11개국 세계 전통정원, 습지센터 등 4년간 준비

순천시는 여수 화학공업단지와 광양의 제철, 항만 공업단지 등과 인접해 이들 도시와의 차별화가 필요했다.
시는 생태수도를 시정 목표로 삼아 순천만을 항구적으로 보전하기 위해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유치하게 되었다.
세계적인 생태 환경도시로 유명한 독일 프라이브르그시와 브라질 꾸리찌바를 모델로 했으며 그 동안 두 도시를 비롯한 생태와 정원 문화가 발달된 해외 여러 도시와 정원들을 벤치마킹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2008년 10월에 서울대 산업협력단에 의뢰해 정원박람회 기본 계획을 수립했고 2009년 2월에는 경제적, 재무적 타당성 분석을 마치고 기본 골격을 만들었다.
순천 정원박람회는 국내 관광객을 끌어 들이려는 단순한 지역축제로 계획하지 않았다.
시는 생태수도를 시정 목표로 삼아 순천만을 항구적으로 보전하기 위해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유치하게 되었다.
세계적인 생태 환경도시로 유명한 독일 프라이브르그시와 브라질 꾸리찌바를 모델로 했으며 그 동안 두 도시를 비롯한 생태와 정원 문화가 발달된 해외 여러 도시와 정원들을 벤치마킹하고 자료를 수집했다.
2008년 10월에 서울대 산업협력단에 의뢰해 정원박람회 기본 계획을 수립했고 2009년 2월에는 경제적, 재무적 타당성 분석을 마치고 기본 골격을 만들었다.
순천 정원박람회는 국내 관광객을 끌어 들이려는 단순한 지역축제로 계획하지 않았다.

세계 각국이 동참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생태 박람회로 개최하기 위해 2009년 4월에 국무총리실, 기획재정부 등 정부 각 부처와 전문가들로 구성된 국제행사위원회에서 국제행사로 승인되어 저탄소 녹색성장 표본박람회로 인정 받았다.
정부 승인 후 박람회 행사를 관장하는 국제기구인 세계원예생산자들의 협력기구 (AIPH)에 정원박람회 개최 승인을 신청했다.
AIPH는 현지 실사를 통해 순천 정원박람회가 자연환경을 항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시대 정신에 부응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2009년 9월 스페인 사라고사 총회에서 회원국 만장일치로 승인되어 박람회 준비가 본격화 되었다.
AIPH 유치 승인 후 정원박람회 본격 준비에 나섰다.
2010년 1월 산림청의 공조로 100여 주의 큰나무를 대형 헬기를 이용해 정원박람회장 부지로 운반, 박람회 추진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또 정원박람회 성공 개최 준비를 위해 62차 AIPH 총회를 2010년 10월 3일부터 6일까지 개최했다.
2011년 3월 정원박람회 조성공사 착공에 들어가 2011년 4월 조직위원회 창립총회를 갖고 중앙정부와 정계,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해 정부 지원과 시민참여를 이끌어내고 대국민 공감대 확산 및 범국가적 개최 붐 조성 등 박람회를 총괄하게 됐다.
창립총회를 시작으로 전라남도에 법인설립 허가를 신청하여 5월까지 법인설립 등기신청 및 등록을 마치고 7월에 조직위원회 사무국 60명으로 출범 기구와 조직, 예산 등 박람회에 필요한 제반 준비를 모두 마무리하고 박람회장 조성과 운영 준비에 전력을 쏟게 됐다.
이 과정에서 순천시의회가 조직위 승인을 지연시켜 애를 먹기도 했다.
지난해에 박람회장을 가로지르는 송전철탑의 안전성 문제로 철탑주 주변 공사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던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을 완료했다.
또, 나무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고 수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신공법인 말뚝형 지주목을 특허 출원하여 강력한 태풍에도 굳건하게 지켜냈다.
2012년 7월 정원박람회조직위원회 제16차 이사회에서 입장권 가격과 사전예매 할인 요금 등을 결정하고 10월 4일 정원박람회 입장권 예매 행사를 갖고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갔다.
올해 들어서면서 박람회장이 속속 제 모습을 갖추게 되면서 지난달 1월 10일 정원박람회의 주제관인 국제습지센터를 완공했다.
야외 습지와 주제영상관, 생태전시관, 에코시티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태양열과 지열을 활용 설계했다.
이러한 4년간의 준비 끝에 오늘 개막식을 갖고 20일부터 전 세계인들에게 개방하게 된다.
[교차로신문사/ 김현수 기자 kimhs5505@hanmail.net ]
2008년 행사기본계획 연구용역(서울대 산학협력단), 정원박람회 국제심포지엄 개최
2009년 시의회 유치 지원 특별위원회 구성(7인), 정부 국제행사 승인(기획재정부),실사단 현지실사(듀크하버 회장외 2명)
2010년 정원박람회장 실시설계 용역 계약,국제정원박람회장 사업인정고시(국토해양부)
제62차 AIPH 국제원예생산자협회 총회 개최, 박람회장 부지매입 보상협의 완료, 조직위원회 설립을 위한 발기인 대회
2011년 조성공사 착수(2011. 3. 28), 조직위원회 창립총회(2011. 4. 22), PRT 기공식(2011. 6. 24), 조직위원회 사무국 출범(60명 / 2011. 7. 11)
2012년 입장권 예매 시작(2012. 10. 2)
2013년도 국제습지센터 준공(2013. 1. 10), 꿈의 다리 준공(2013. 2. 28), 박람회 최종 리허설(2013. 4. 13)
정부 승인 후 박람회 행사를 관장하는 국제기구인 세계원예생산자들의 협력기구 (AIPH)에 정원박람회 개최 승인을 신청했다.
AIPH는 현지 실사를 통해 순천 정원박람회가 자연환경을 항구적으로 보존하기 위한 시대 정신에 부응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2009년 9월 스페인 사라고사 총회에서 회원국 만장일치로 승인되어 박람회 준비가 본격화 되었다.
AIPH 유치 승인 후 정원박람회 본격 준비에 나섰다.
2010년 1월 산림청의 공조로 100여 주의 큰나무를 대형 헬기를 이용해 정원박람회장 부지로 운반, 박람회 추진에 박차를 가하게 됐다.
또 정원박람회 성공 개최 준비를 위해 62차 AIPH 총회를 2010년 10월 3일부터 6일까지 개최했다.
2011년 3월 정원박람회 조성공사 착공에 들어가 2011년 4월 조직위원회 창립총회를 갖고 중앙정부와 정계, 학계, 전문가 등으로 구성해 정부 지원과 시민참여를 이끌어내고 대국민 공감대 확산 및 범국가적 개최 붐 조성 등 박람회를 총괄하게 됐다.
창립총회를 시작으로 전라남도에 법인설립 허가를 신청하여 5월까지 법인설립 등기신청 및 등록을 마치고 7월에 조직위원회 사무국 60명으로 출범 기구와 조직, 예산 등 박람회에 필요한 제반 준비를 모두 마무리하고 박람회장 조성과 운영 준비에 전력을 쏟게 됐다.
이 과정에서 순천시의회가 조직위 승인을 지연시켜 애를 먹기도 했다.
지난해에 박람회장을 가로지르는 송전철탑의 안전성 문제로 철탑주 주변 공사 진행에 어려움을 겪었던 송전선로 지중화 사업을 완료했다.
또, 나무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고 수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신공법인 말뚝형 지주목을 특허 출원하여 강력한 태풍에도 굳건하게 지켜냈다.
2012년 7월 정원박람회조직위원회 제16차 이사회에서 입장권 가격과 사전예매 할인 요금 등을 결정하고 10월 4일 정원박람회 입장권 예매 행사를 갖고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갔다.
올해 들어서면서 박람회장이 속속 제 모습을 갖추게 되면서 지난달 1월 10일 정원박람회의 주제관인 국제습지센터를 완공했다.
야외 습지와 주제영상관, 생태전시관, 에코시티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태양열과 지열을 활용 설계했다.
이러한 4년간의 준비 끝에 오늘 개막식을 갖고 20일부터 전 세계인들에게 개방하게 된다.
[교차로신문사/ 김현수 기자 kimhs5505@hanmail.net ]
2008년 행사기본계획 연구용역(서울대 산학협력단), 정원박람회 국제심포지엄 개최
2009년 시의회 유치 지원 특별위원회 구성(7인), 정부 국제행사 승인(기획재정부),실사단 현지실사(듀크하버 회장외 2명)
2010년 정원박람회장 실시설계 용역 계약,국제정원박람회장 사업인정고시(국토해양부)
제62차 AIPH 국제원예생산자협회 총회 개최, 박람회장 부지매입 보상협의 완료, 조직위원회 설립을 위한 발기인 대회
2011년 조성공사 착수(2011. 3. 28), 조직위원회 창립총회(2011. 4. 22), PRT 기공식(2011. 6. 24), 조직위원회 사무국 출범(60명 / 2011. 7. 11)
2012년 입장권 예매 시작(2012. 10. 2)
2013년도 국제습지센터 준공(2013. 1. 10), 꿈의 다리 준공(2013. 2. 28), 박람회 최종 리허설(2013.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