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차로신문 선정 ‘광양 올해의 10대 뉴스’
교차로신문 선정 ‘광양 올해의 10대 뉴스’
by 운영자 2013.12.31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 ‘성공’
광양보건대·한려대, 설립자 교비 횡령 여파로 ‘휘청’
2014년 갑오년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2013년 한해 무슨 일들이 있었나 돌아보고 반성하고, 2014년의 계획을 세울 때다. 2013년 순천과 광양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
순천시민들의 가슴을 뜨겁게 했던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관람객 목표치를 상회하며 흑자를 냈고, 경기침체로 인해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실적 부진을 겪으며 지방세가 격감하는 등 2013년 우리를 기쁘게 하고 또 아프게 했던 일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간다.
이에 교차로신문사는 ‘순천·광양 올해의 10대 뉴스’를 선정, 한해 동안 우리 주변에서 화제가 됐던 일들을 짚어봤다.
■광양 올해의 10대 뉴스
1. 포스코 실적부진 따른 지방세 격감
광양보건대·한려대, 설립자 교비 횡령 여파로 ‘휘청’
2014년 갑오년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2013년 한해 무슨 일들이 있었나 돌아보고 반성하고, 2014년의 계획을 세울 때다. 2013년 순천과 광양에는 어떤 일들이 있었을까.
순천시민들의 가슴을 뜨겁게 했던 2013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가 관람객 목표치를 상회하며 흑자를 냈고, 경기침체로 인해 포스코 광양제철소가 실적 부진을 겪으며 지방세가 격감하는 등 2013년 우리를 기쁘게 하고 또 아프게 했던 일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간다.
이에 교차로신문사는 ‘순천·광양 올해의 10대 뉴스’를 선정, 한해 동안 우리 주변에서 화제가 됐던 일들을 짚어봤다.
■광양 올해의 10대 뉴스
1. 포스코 실적부진 따른 지방세 격감

경기침체로 인한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실적 부진이 지방세 격감이란 부메랑으로 지역에 돌아왔다.
지방소득세는 기업들이 법인세법에 따라 전년도 말 결산에 따른 법인세 총액의 10%를 관할 지자체에 납부하는 것으로, 광양제철소는 2005년 530억 원, 2006년 577억 원, 2007년 332억 원, 2008년 474억 원을 냈다. 이후 2009년에는 710억 원을 납부하며 최고를 기록했지만 2010년 217억 원으로 줄었고, 2011년에는 347억 원, 지난해에는 202억 원을 납부했다.
올해는 83억 원 을 납부하는 데 그치며 치밀하지 못한 광양시의 세원관리 행정까지 질타를 받았다.
2. 광양보건대ㆍ한려대, 설립자 교비 횡령 여파로 휘청
지방소득세는 기업들이 법인세법에 따라 전년도 말 결산에 따른 법인세 총액의 10%를 관할 지자체에 납부하는 것으로, 광양제철소는 2005년 530억 원, 2006년 577억 원, 2007년 332억 원, 2008년 474억 원을 냈다. 이후 2009년에는 710억 원을 납부하며 최고를 기록했지만 2010년 217억 원으로 줄었고, 2011년에는 347억 원, 지난해에는 202억 원을 납부했다.
올해는 83억 원 을 납부하는 데 그치며 치밀하지 못한 광양시의 세원관리 행정까지 질타를 받았다.
2. 광양보건대ㆍ한려대, 설립자 교비 횡령 여파로 휘청

설립자 이홍하 씨의 교비횡령으로 광양지역에서는 광양보건대와 한려대가 부실대학에 지정되며 존폐의 기로에 섰다.
광양보건대와 한려대는 통합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광양보건대학교 구성원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했으며, 올해 초 부임한 노영복 총장이 학교 재단 측에 의해 직위해제 되고 학생들이 시위를 벌이는 등 내홍을 겪었다.
최근에는 광양보건대 총학생회와 정상화추진교수회 등을 중심으로 학교정상화를 위해 광양지역민의 관심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3. 세풍산단ㆍ목성뜰 개발 진통
광양읍 지역민들이 최대 숙원인 세풍산단과 목성뜰 개발도 진통을 겪으며 빠른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목성지구는 시와 일부 주민 간 마찰과 경전선 폐선부지 활용을 놓고도 찬성과 반대 측의 힘겨루기가 계속됐다.
세풍산단은 광양시와 경제청이 책임분양보증 문제를 놓고 입장이 확연히 갈리며 서로 갈등을 빚어왔다. 결국 광양시 보증없이 포스코 건설 참여가 결정됐으며, 내년부터 사업이 추진될 수 있을 전망이다.
4. 포스코 제 2제강공장 화재로 가동중단
지난 8월 포스코 광양제철소 제 2제강공장 지하에 설치된 전선케이블 관로에서 포스코 창사 이래 최대의 화재사고가 발생, 조업이 중단되는 등 생산에 엄청난 차질을 불러왔다.
포스코는 화재사고 발생 당시 정상가동에 2~3일이 걸릴 것이라고 호언장담했지만 사고 피해는 생각보다 심각했다.
하지만 정상가동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지역사회의 최대 관심사로 부각했고, 가뜩이나 꽁꽁 얼어붙은 지역경제에 찬물을 끼얹고 말았다.
엄청난 피해를 가져온 사고에도 불구하고 중앙과 지방을 비롯 대부분의 언론이 이 사건을 외면한 것도 관심거리였다.
5. 광양만 국가산단 대기환경 감시시스템 구축
광양보건대와 한려대는 통합 논의가 진행되고 있지만 광양보건대학교 구성원의 강력한 반발에 직면했으며, 올해 초 부임한 노영복 총장이 학교 재단 측에 의해 직위해제 되고 학생들이 시위를 벌이는 등 내홍을 겪었다.
최근에는 광양보건대 총학생회와 정상화추진교수회 등을 중심으로 학교정상화를 위해 광양지역민의 관심과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3. 세풍산단ㆍ목성뜰 개발 진통
광양읍 지역민들이 최대 숙원인 세풍산단과 목성뜰 개발도 진통을 겪으며 빠른 진척을 보이지 못했다.
목성지구는 시와 일부 주민 간 마찰과 경전선 폐선부지 활용을 놓고도 찬성과 반대 측의 힘겨루기가 계속됐다.
세풍산단은 광양시와 경제청이 책임분양보증 문제를 놓고 입장이 확연히 갈리며 서로 갈등을 빚어왔다. 결국 광양시 보증없이 포스코 건설 참여가 결정됐으며, 내년부터 사업이 추진될 수 있을 전망이다.
4. 포스코 제 2제강공장 화재로 가동중단
지난 8월 포스코 광양제철소 제 2제강공장 지하에 설치된 전선케이블 관로에서 포스코 창사 이래 최대의 화재사고가 발생, 조업이 중단되는 등 생산에 엄청난 차질을 불러왔다.
포스코는 화재사고 발생 당시 정상가동에 2~3일이 걸릴 것이라고 호언장담했지만 사고 피해는 생각보다 심각했다.
하지만 정상가동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지역사회의 최대 관심사로 부각했고, 가뜩이나 꽁꽁 얼어붙은 지역경제에 찬물을 끼얹고 말았다.
엄청난 피해를 가져온 사고에도 불구하고 중앙과 지방을 비롯 대부분의 언론이 이 사건을 외면한 것도 관심거리였다.
5. 광양만 국가산단 대기환경 감시시스템 구축

그동안 전라남도가 관할하던 비산먼지 관리권이 지난 5월 24일 광양시로 이관된데 이어 11월에는 ‘광양만 국가산단 대기환경 감시시스템’이 구축되며 환경감시에 한 획을 그었다.
이번에 구축된 시스템은 ‘악취’와 ‘먼지’ 측정센서와 환경오염 현장 확인용 CCTV, 기상장비 등을 갖췄다.
6. 광양 단설 유치원 설립 무산
폐교된 광양옥룡중학교에 단설 유치원을 신설하려던 계획이 학부모들의 반발로 좌절됐다.
광양교육청은 내년 3월 개원을 목표로, 폐교된 옥룡중학교 부지에 단설 유치원(7학급, 한 학급당 20명·특수학급 1학급 포함)을 설립하기 위해 지난 9월 철거 공사에 들어가려 했으나 학부모들이 반발로 공사를 중지했다.
7. 네덜란드물류대ㆍ카페리 재취항 ‘물거품’
지난 2007년 9월 설립한 네덜란드 국제물류대학 광양분원이 개교 6년 만에 문을 닫았다.
네덜란드 물류대학은 지난 2007년 9월에 문을 열어 광양시로부터 16억 30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았지만 큰 성과 없이 문을 닫아 시민혈세 낭비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 2년간 광양항에 정박해 있던 ‘비츠호’가 결국 광양을 떠나며, 카페리 사업이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비츠호는 지난 2011년 1월 광양~일본 시모노세키 항로가 개설되면서 호남권 농수산물 대일 수출과 한일 관광객 유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같은 해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과 원전사태, 운영선사였던 광양 훼리의 유동성 자금 부족 등의 여파로 운항 재개를 못한 채 광양항에 묶여 있었다.
8. 광양서커스 진통 여전 … 3가지 소송 동시 수행
여수엑스포 기간에 맞춰 개최한 ‘2012광양월드아트서커스페스티벌(이하 광양서커스)’의 진통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행사과정에서 용역비를 부풀려 가로챈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MBC미술센터 및 협력업체 관계자들이 이성웅 광양시장과 이돈종 서커스 조직위원장을 상대로 23억 2500만 원의 민사소송을 제기했고, 이에 광양시는 지난 3월 MBC미술센터 측에 보조금 반환을 요구하는 행정처분을 내렸다.
그러자 MBC미술센터 측은 광양시장을 상대로 한 보조금 반환처분무효확인청구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등 광양서커스의 법적 책임공방이 아직 뜨거운 상태다.
광양시로서는 서커스 대행사 측과 형사, 민사, 행정소송을 동시에 치르는 셈이다.
9. 탄소소재 사업 추진 가시화
이번에 구축된 시스템은 ‘악취’와 ‘먼지’ 측정센서와 환경오염 현장 확인용 CCTV, 기상장비 등을 갖췄다.
6. 광양 단설 유치원 설립 무산
폐교된 광양옥룡중학교에 단설 유치원을 신설하려던 계획이 학부모들의 반발로 좌절됐다.
광양교육청은 내년 3월 개원을 목표로, 폐교된 옥룡중학교 부지에 단설 유치원(7학급, 한 학급당 20명·특수학급 1학급 포함)을 설립하기 위해 지난 9월 철거 공사에 들어가려 했으나 학부모들이 반발로 공사를 중지했다.
7. 네덜란드물류대ㆍ카페리 재취항 ‘물거품’
지난 2007년 9월 설립한 네덜란드 국제물류대학 광양분원이 개교 6년 만에 문을 닫았다.
네덜란드 물류대학은 지난 2007년 9월에 문을 열어 광양시로부터 16억 300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았지만 큰 성과 없이 문을 닫아 시민혈세 낭비 사례로 지적되고 있다.
지난 2년간 광양항에 정박해 있던 ‘비츠호’가 결국 광양을 떠나며, 카페리 사업이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비츠호는 지난 2011년 1월 광양~일본 시모노세키 항로가 개설되면서 호남권 농수산물 대일 수출과 한일 관광객 유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같은 해 3월 11일 동일본 대지진 발생과 원전사태, 운영선사였던 광양 훼리의 유동성 자금 부족 등의 여파로 운항 재개를 못한 채 광양항에 묶여 있었다.
8. 광양서커스 진통 여전 … 3가지 소송 동시 수행
여수엑스포 기간에 맞춰 개최한 ‘2012광양월드아트서커스페스티벌(이하 광양서커스)’의 진통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행사과정에서 용역비를 부풀려 가로챈 혐의로 불구속 기소된 MBC미술센터 및 협력업체 관계자들이 이성웅 광양시장과 이돈종 서커스 조직위원장을 상대로 23억 2500만 원의 민사소송을 제기했고, 이에 광양시는 지난 3월 MBC미술센터 측에 보조금 반환을 요구하는 행정처분을 내렸다.
그러자 MBC미술센터 측은 광양시장을 상대로 한 보조금 반환처분무효확인청구 행정소송을 제기하는 등 광양서커스의 법적 책임공방이 아직 뜨거운 상태다.
광양시로서는 서커스 대행사 측과 형사, 민사, 행정소송을 동시에 치르는 셈이다.
9. 탄소소재 사업 추진 가시화

지난 4월 광양제철소 동호안 공장부지에 (주)PMC Tech 공장이 착공되면서, 탄소소재 사업을 기반으로 지역경제 활성화가 기대되고 있다.
(주)PMC Tech는 포스코의 화학부문 계열사인 포스코켐텍(60%)과 일본 미쓰비시 상사·미쓰비시 화학(40%)이 합작 투자해 지난해 11월5일에 설립됐으며, 국내 최초이면서 세계 7번째로 탄소소재 핵심원료인 프리미엄 침상 코크스를 제조하는 기업이다. 내년 9월경에 완공될 공장은 총면적 22만 6100제곱미터(㎡)에 4820억 원이 투자된다.
10.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움직임
(주)PMC Tech는 포스코의 화학부문 계열사인 포스코켐텍(60%)과 일본 미쓰비시 상사·미쓰비시 화학(40%)이 합작 투자해 지난해 11월5일에 설립됐으며, 국내 최초이면서 세계 7번째로 탄소소재 핵심원료인 프리미엄 침상 코크스를 제조하는 기업이다. 내년 9월경에 완공될 공장은 총면적 22만 6100제곱미터(㎡)에 4820억 원이 투자된다.
10.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움직임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가 지난 7월 출범식을 갖고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지만, 아직까지 구체적인 성과는 가져오지 못하고 있다.
추진위는 15만 명 서명운동에 이어 지난 11월 국회의사당에서 백운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공청회 재개 등 기재부와 교육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 간 의견조율을 요청한 상태다.
그러나 서울대를 비롯 백운산 인근 주민들의 반대도 여전해 국립공원 지정 문제는 해를 넘기게 됐다.
[정리 지정운 기자]
추진위는 15만 명 서명운동에 이어 지난 11월 국회의사당에서 백운산을 국립공원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공청회 재개 등 기재부와 교육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 간 의견조율을 요청한 상태다.
그러나 서울대를 비롯 백운산 인근 주민들의 반대도 여전해 국립공원 지정 문제는 해를 넘기게 됐다.
[정리 지정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