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광양의 번영 약속할 미래 먹거리는① 철강업계 업황부진 지속…지방세 격감ㆍ지역 경제 위기감 고조
기획취재-광양의 번영 약속할 미래 먹거리는① 철강업계 업황부진 지속…지방세 격감ㆍ지역 경제 위기감 고조
by 운영자 2014.04.28
포스코 광양제철소와 광양항으로 대변되는 광양 경제의 두 기둥이 중대한 도전에 직면했다.포스코 광양제철소는 세계적인 경기침체에 따른 철강 경기 하강 국면이 이어지며 영업이익률 하락, 부채 비율 증가 등으로 인해 과거 30년 동안 경험하지 못한 불안감에 휩싸인 상태다.
광양항도 정부의 2-PORT시스템이 흔들리며 각종 개발과 예산 배정 순위 등에서 부산항에 현격하게 밀리며 미래 성장 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 때문에 광양의 미래 번영을 약속할 성장 동력 확보는 정관계는 물론 기업에서도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된 지 오래다.
이에 본지는 광양의 성장 동력 찾기 노력을 광양제철소와 광양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편집자>
광양항도 정부의 2-PORT시스템이 흔들리며 각종 개발과 예산 배정 순위 등에서 부산항에 현격하게 밀리며 미래 성장 가능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상황으로 내몰리고 있다.
이 때문에 광양의 미래 번영을 약속할 성장 동력 확보는 정관계는 물론 기업에서도 가장 중요한 화두가 된 지 오래다.
이에 본지는 광양의 성장 동력 찾기 노력을 광양제철소와 광양시를 중심으로 살펴본다.<편집자>
▲ 방열복을 겹쳐 입은 광양제철소 직원들이 뜨거운 쇳물이 나오는 고로 출선구에서작업에 여념이 없다. 하지만 철강경기의 하락에 따라 업황부진은 계속되고 있어
지역경제의 위기감은 커져가고 있다.
광양시·포스코·지역정가, 신성장 동력 찾기 ‘골몰’
1. 광양제철소 지방세 격감에 불안감
2. 포스코, 새로운 도전으로 위기탈출
3. 광양시, 미래 신소재 산업 유치 총력
◇광양제철소 지방세 격감→지역경제 위기감
철강 경기의 부진은 글로벌 경제 환경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다. 시작은 2008년에 발생한 미국 금융위기에 이어 2010년에 유럽경제 위기가 겹치면서다.
이와 더불어 중국을 중심으로 전세계 철강 공급능력 과잉이 겹치면서, 철강사의 생존경쟁은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전세계 철강사의 경영성과는 지속 감소하고 있으며, 생존을 위해 구조조정을 하고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쟁에서 뒤쳐진 미국이나 유럽 지역에서는 철강산업이 사양 산업으로 취급받는다.
문제는 당분간 세계 철강업계의 공급 과잉이 지속되면서 국내 업체 즉 포스코의 어려움도 지속될 전망이 나온다.
이러한 철강업계의 업황 부진 여파는 지방소득세의 감소라는 후폭풍으로 아무런 완충장치없이 지역경제에 전달된다.
기업들은 법인세법에 따라 전년도 말 결산에 따른 법인세 총액의 10%를 관할 지자체에 납부하게 되는데, 포스코 광양제철소도 예외는아니다.
그동안 광양제철소가 납부한 지방소득세액을 살펴보면 2005년 530억 원, 2006년 577억 원, 2007년 332억 원, 2008년 474억 원으로 꾸준함을 보이다 2009년에는 710억 원을 납부하며 광양시의 재정자립도를 전남 최고로 끌어올린 바 있다.
이후 2010년 217억 원으로 줄었던 지방세는 2011년 347억 원으로 다시 회복했고, 2012년에는 202억 원으로 줄었다.
문제는 2013년에 발생했다. 광양시는 170억 원의 ‘법인세분 지방소득세’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광양제철소는 83억 원 을 납부했다.
이는 전년도에 납부한 202억 원보다 무려 119억 원이 줄어든 액수다.
결과적으로 2013년도 한해 동안 87억 원의 지방세수 부족이 발생하며 광양시는 세원 관리에 문제점을 드러냈고, 광양시는 의회로부터 허위 예산이란 비판까지 받으며 2013년도 살림살이를 해야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당시 광양시는 2014년도 광양제철소가 지방세 추계액으로 65억 원을 예상했다.
물론 2013년에 비해 광양시가 받는 충격은 감소했지만 2014년도 본예산이 전년도에 비해 감소하는 상황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며 광양시정 전반에 위기감이 팽배했다.
돈이 없어 지역 발전에 꼭필요한 사업을 진행하지 못한다는 우려에서다.
◇지역경제 위기감…“탈출구 찾자” 모두 한목소리
이러한 위기감은 이성웅 광양시장은 물론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후보들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모두가 한 목소리로 새로운 광양의 동력원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성웅 시장은 최근 논란이 된 GIST광양연구소 유치와 관련 “광양은 철강 중심의 산업구조 편중을 해소하고 미래 신소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다각화가 필요하다”면서 “정부와 연계한 신소재산업의 R&D 연구소 적극 유치가 필요하다”는 말을 했다.
또한 세풍산단 개발과 관련해서도 “탄소소재와 클린에너지 산업 유치가 필요하다”며 신성장 동력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최근 시장의 꿈을 접은 김재휴 전 보성부군수는 “철강산업에 집중화된 광양만권의 경제구조가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며 “신소재, 에너지, 저탄소 등 신성장 동력산업의 업종전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다른 후보들도 이같은 의견에 한 목소리를 냈다.
우윤근 국회의원도 지난 3월 광양시와의 간담회에서 “정부의 핵심사업인 동서 통합지대에 광양시 발전사업을 포함시키도록 노력 중”이라며 “기능성 화학클러스터 구축사업, 광양항 활성화 대책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
지역경제의 위기감은 커져가고 있다.
광양시·포스코·지역정가, 신성장 동력 찾기 ‘골몰’
1. 광양제철소 지방세 격감에 불안감
2. 포스코, 새로운 도전으로 위기탈출
3. 광양시, 미래 신소재 산업 유치 총력
◇광양제철소 지방세 격감→지역경제 위기감
철강 경기의 부진은 글로벌 경제 환경을 그대로 반영한 결과다. 시작은 2008년에 발생한 미국 금융위기에 이어 2010년에 유럽경제 위기가 겹치면서다.
이와 더불어 중국을 중심으로 전세계 철강 공급능력 과잉이 겹치면서, 철강사의 생존경쟁은 더욱 치열해 지고 있다.
이로 인해 전세계 철강사의 경영성과는 지속 감소하고 있으며, 생존을 위해 구조조정을 하고 보호무역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경쟁에서 뒤쳐진 미국이나 유럽 지역에서는 철강산업이 사양 산업으로 취급받는다.
문제는 당분간 세계 철강업계의 공급 과잉이 지속되면서 국내 업체 즉 포스코의 어려움도 지속될 전망이 나온다.
이러한 철강업계의 업황 부진 여파는 지방소득세의 감소라는 후폭풍으로 아무런 완충장치없이 지역경제에 전달된다.
기업들은 법인세법에 따라 전년도 말 결산에 따른 법인세 총액의 10%를 관할 지자체에 납부하게 되는데, 포스코 광양제철소도 예외는아니다.
그동안 광양제철소가 납부한 지방소득세액을 살펴보면 2005년 530억 원, 2006년 577억 원, 2007년 332억 원, 2008년 474억 원으로 꾸준함을 보이다 2009년에는 710억 원을 납부하며 광양시의 재정자립도를 전남 최고로 끌어올린 바 있다.
이후 2010년 217억 원으로 줄었던 지방세는 2011년 347억 원으로 다시 회복했고, 2012년에는 202억 원으로 줄었다.
문제는 2013년에 발생했다. 광양시는 170억 원의 ‘법인세분 지방소득세’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광양제철소는 83억 원 을 납부했다.
이는 전년도에 납부한 202억 원보다 무려 119억 원이 줄어든 액수다.
결과적으로 2013년도 한해 동안 87억 원의 지방세수 부족이 발생하며 광양시는 세원 관리에 문제점을 드러냈고, 광양시는 의회로부터 허위 예산이란 비판까지 받으며 2013년도 살림살이를 해야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당시 광양시는 2014년도 광양제철소가 지방세 추계액으로 65억 원을 예상했다.
물론 2013년에 비해 광양시가 받는 충격은 감소했지만 2014년도 본예산이 전년도에 비해 감소하는 상황이 복합적으로 진행되며 광양시정 전반에 위기감이 팽배했다.
돈이 없어 지역 발전에 꼭필요한 사업을 진행하지 못한다는 우려에서다.
◇지역경제 위기감…“탈출구 찾자” 모두 한목소리
이러한 위기감은 이성웅 광양시장은 물론 지방선거를 준비하는 후보들에게도 영향을 미쳤고, 모두가 한 목소리로 새로운 광양의 동력원을 찾아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성웅 시장은 최근 논란이 된 GIST광양연구소 유치와 관련 “광양은 철강 중심의 산업구조 편중을 해소하고 미래 신소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다각화가 필요하다”면서 “정부와 연계한 신소재산업의 R&D 연구소 적극 유치가 필요하다”는 말을 했다.
또한 세풍산단 개발과 관련해서도 “탄소소재와 클린에너지 산업 유치가 필요하다”며 신성장 동력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최근 시장의 꿈을 접은 김재휴 전 보성부군수는 “철강산업에 집중화된 광양만권의 경제구조가 취약점을 드러내고 있다”며 “신소재, 에너지, 저탄소 등 신성장 동력산업의 업종전환을 서둘러야 한다”고 밝혔다.
이밖에 다른 후보들도 이같은 의견에 한 목소리를 냈다.
우윤근 국회의원도 지난 3월 광양시와의 간담회에서 “정부의 핵심사업인 동서 통합지대에 광양시 발전사업을 포함시키도록 노력 중”이라며 “기능성 화학클러스터 구축사업, 광양항 활성화 대책을 정부에 건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교차로신문사/ 지정운 기자 zzartsosa@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