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시대에 흑백의 세상이라니
인공지능 시대에 흑백의 세상이라니
by 김재은 작가 2020.01.21
70년대 초반이었을 것이다.라디오만 듣다가 어느 날 고향 마을 옆집에 신기한 텔레비전(TV)이라는 것이 들어왔다.
어른들은 낮에는 일을 하고 저녁이 되면 TV 앞에 모여들었다. 아이들은 아버지를 따라가야 TV를 볼 수 있었기에 저녁이 되길 기다렸던 기억이 새록새록 생각난다.
라디오의 왕비열전보다 타잔이나 킹콩, 야간비행같은 흑백 TV 프로그램이 당연히 인기가 있었음은 물론이다. 그러다 곡절 끝에 80년대 초가 되어서야 칼라TV 시대가 되었다.
70년대 말 열악한 산업현장에서 쉴 새 없이 일해야만 했던 노동자들의 현실은 외면하면서 ‘흑백TV도 없는 사람이 많은데 그보다 훨씬 비싼 컬러TV가 나오면 없는 사람들은 더 비참해진다’는 논리가 권력층의 ‘컬러TV 보급 반대 이유’였다는 씁쓸한 이야기도 있다.
어쨌거나 그렇게 이어져 온 TV시대는 최근 CES(세계가전전시회)에서 한국의 관련 기업들이 첨단기술을 내세워 상을 휩쓰는 수준에 이르렀다.
BTS 등 한류콘텐츠와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브랜드 상품이 되었다.
뜬금없이 웬 TV 타령이냐고 반문할지 모르겠다.
세상은 칼라 시대를 넘어 인공지능시대로 접어들어 예측할 수 없는 변화 속에 미래로 질주하고 있는데 한편에서는 ‘흑백논리’로 무장한 채 보다 나은 사회로 나아가는 길에 태클을 걸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에 있는 것 같지만 없는 것 중의 하나가 정답이라고 한다. 그런데 일방적으로 정한 답이 아니면 ‘틀렸다’면서 핏대를 올리고 있는 우리의 현실이 오버랩되어서 이기도 하다.
지구상에는 80억 가까운 사람들이 살고 있다.
그런데 그중 한 사람도 같은 사람은 없다.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 알콩달콩 살아가는 게 지구별이고 세상이라는 이야기이다.
그런 세상임에도 왜 우리는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나만이 옳다며 고집을 부리고 소리를 지르는 걸까. 최첨단의 기술의 혜택을 누리면서 왜 머릿속은 ‘흑백TV’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걸까.
일제강압기, 한국전쟁과 분단, 압축고도성장의 시대를 살아오면서 생겨난 후유증이라는 것도 공감 못하는 바 아니다. 문제는 이런 흑백의 틀 속에 갇힌 문화가 야기하는 삶의 구속과 불편함, 사회적 스트레스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는데 있다.
가을 숲이 아름다운 것은 서로 다른 색깔의 잎들이 어우러져 있기 때문이다. 한 두 가지 색으로만 이루어진 사람의 숲이 저마다의 색깔을 뽐내며 서로 다른 생각들이 어우러진 백인백색의 숲이 된다면 어찌 가을 숲보다 아름답지 않을 것인가.
새해가 되었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고 했던가.
기존의 흑백상자에 갇힌 삶, 그런 사회가 지속되는 한 새해가 새해가 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생각과 철학, 논리와 시각 등 내 것이라고 하는 것을 내려놓고 새해에는 나와 다른 존재들의 그것들과 어우러지는 삶을 시도해보면 좋겠다.
그러할 때 어쩌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가장 아름다운 삶과 세상을 맛보지 않을까. 그것이 바로 진정 새해의 모습일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세상이 아닐는지.
어른들은 낮에는 일을 하고 저녁이 되면 TV 앞에 모여들었다. 아이들은 아버지를 따라가야 TV를 볼 수 있었기에 저녁이 되길 기다렸던 기억이 새록새록 생각난다.
라디오의 왕비열전보다 타잔이나 킹콩, 야간비행같은 흑백 TV 프로그램이 당연히 인기가 있었음은 물론이다. 그러다 곡절 끝에 80년대 초가 되어서야 칼라TV 시대가 되었다.
70년대 말 열악한 산업현장에서 쉴 새 없이 일해야만 했던 노동자들의 현실은 외면하면서 ‘흑백TV도 없는 사람이 많은데 그보다 훨씬 비싼 컬러TV가 나오면 없는 사람들은 더 비참해진다’는 논리가 권력층의 ‘컬러TV 보급 반대 이유’였다는 씁쓸한 이야기도 있다.
어쨌거나 그렇게 이어져 온 TV시대는 최근 CES(세계가전전시회)에서 한국의 관련 기업들이 첨단기술을 내세워 상을 휩쓰는 수준에 이르렀다.
BTS 등 한류콘텐츠와 함께 한국을 대표하는 브랜드 상품이 되었다.
뜬금없이 웬 TV 타령이냐고 반문할지 모르겠다.
세상은 칼라 시대를 넘어 인공지능시대로 접어들어 예측할 수 없는 변화 속에 미래로 질주하고 있는데 한편에서는 ‘흑백논리’로 무장한 채 보다 나은 사회로 나아가는 길에 태클을 걸고 있기 때문이다.
세상에 있는 것 같지만 없는 것 중의 하나가 정답이라고 한다. 그런데 일방적으로 정한 답이 아니면 ‘틀렸다’면서 핏대를 올리고 있는 우리의 현실이 오버랩되어서 이기도 하다.
지구상에는 80억 가까운 사람들이 살고 있다.
그런데 그중 한 사람도 같은 사람은 없다. 서로 다른 사람들이 모여 알콩달콩 살아가는 게 지구별이고 세상이라는 이야기이다.
그런 세상임에도 왜 우리는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나만이 옳다며 고집을 부리고 소리를 지르는 걸까. 최첨단의 기술의 혜택을 누리면서 왜 머릿속은 ‘흑백TV’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걸까.
일제강압기, 한국전쟁과 분단, 압축고도성장의 시대를 살아오면서 생겨난 후유증이라는 것도 공감 못하는 바 아니다. 문제는 이런 흑백의 틀 속에 갇힌 문화가 야기하는 삶의 구속과 불편함, 사회적 스트레스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는데 있다.
가을 숲이 아름다운 것은 서로 다른 색깔의 잎들이 어우러져 있기 때문이다. 한 두 가지 색으로만 이루어진 사람의 숲이 저마다의 색깔을 뽐내며 서로 다른 생각들이 어우러진 백인백색의 숲이 된다면 어찌 가을 숲보다 아름답지 않을 것인가.
새해가 되었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고 했던가.
기존의 흑백상자에 갇힌 삶, 그런 사회가 지속되는 한 새해가 새해가 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생각과 철학, 논리와 시각 등 내 것이라고 하는 것을 내려놓고 새해에는 나와 다른 존재들의 그것들과 어우러지는 삶을 시도해보면 좋겠다.
그러할 때 어쩌면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가장 아름다운 삶과 세상을 맛보지 않을까. 그것이 바로 진정 새해의 모습일 것이고 많은 사람들이 꿈꾸는 세상이 아닐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