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를 때리는 아들
친구를 때리는 아들
by 운영자 2011.10.18
초등학교 5학년인 아들이 학교에서 친구들에게 폭력을 사용해 담임선생님께서 상담을 권하는 전화를 하셨습니다.
아들을 혼내기도 하고 타일러도 보았지만 점점 더 공격적으로 바뀌는 것 같습니다. 이제 사춘기에 접어들어 부모가 통제하기도 쉽지 않은데 혹시 삐뜷어질까봐 걱정이 됩니다.
폭력적인 행동이 발생하는 원인은 감정통제가 어렵거나 가정적으로 부모님의 갈등해결의 모습이 폭력적인 형태를 가졌을 수 있습니다.
또는 이전에 학교폭력피해경험 등으로 인한 피해의식 때문에 약한 아이들에게 폭력을 행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폭력적인 행동을 할 때에는 ‘혼자 방에 들어가 있기’등의 방법을 통해 혼자 화를 가라앉일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확보해 줍니다.
이후 화가 가라앉으면 아이가 폭력을 쓰게 된 사정과 상황을 충분히 얘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시고 폭력을 쓰는 이유를 파악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충동적이고 급한 성격 등으로 감정조절이 어려운 아이라면 폭력을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친구관계가 나빠지고,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학교폭력법률에 의해 벌을 받을 수 있음)과 폭력은 결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폭력을 쓰는 대신 화가 났을 때는 호흡, 걷기 등의 대안활동과 화가 나는 상황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훈련시켜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께서는 갈등상황에서 (언어,신체) 폭력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을 조심하셔야 합니다.
자녀지도에 있어 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일시적인 효과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없고 특히 사춘기 자녀에게는 저항과 반항심만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먼저 자녀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합리적이고 융통성 있게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셔야 합니다.
담임선생님에게는 폭력이 발생했을 때 아이가 폭력을 쓰게 된 이유를 경청하신 후 지도해 주실 것을 부탁하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은 감정을 조절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성인이 되어도 감정조절이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아동.사춘기의 자녀들은 자기조절능력이 조금씩 자라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을 잊지 마시고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인내와 적절한 지도로 이끌어야 할 것입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수료(상담 전공)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
아들을 혼내기도 하고 타일러도 보았지만 점점 더 공격적으로 바뀌는 것 같습니다. 이제 사춘기에 접어들어 부모가 통제하기도 쉽지 않은데 혹시 삐뜷어질까봐 걱정이 됩니다.
폭력적인 행동이 발생하는 원인은 감정통제가 어렵거나 가정적으로 부모님의 갈등해결의 모습이 폭력적인 형태를 가졌을 수 있습니다.
또는 이전에 학교폭력피해경험 등으로 인한 피해의식 때문에 약한 아이들에게 폭력을 행사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가 폭력적인 행동을 할 때에는 ‘혼자 방에 들어가 있기’등의 방법을 통해 혼자 화를 가라앉일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확보해 줍니다.
이후 화가 가라앉으면 아이가 폭력을 쓰게 된 사정과 상황을 충분히 얘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시고 폭력을 쓰는 이유를 파악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충동적이고 급한 성격 등으로 감정조절이 어려운 아이라면 폭력을 사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친구관계가 나빠지고, 다른 사람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고, 학교폭력법률에 의해 벌을 받을 수 있음)과 폭력은 결코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폭력을 쓰는 대신 화가 났을 때는 호흡, 걷기 등의 대안활동과 화가 나는 상황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훈련시켜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부모님께서는 갈등상황에서 (언어,신체) 폭력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을 조심하셔야 합니다.
자녀지도에 있어 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일시적인 효과는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효과가 없고 특히 사춘기 자녀에게는 저항과 반항심만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부모가 먼저 자녀와의 관계에서 그리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합리적이고 융통성 있게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주셔야 합니다.
담임선생님에게는 폭력이 발생했을 때 아이가 폭력을 쓰게 된 이유를 경청하신 후 지도해 주실 것을 부탁하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는 것은 감정을 조절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성인이 되어도 감정조절이 어려울 때가 많습니다. 아동.사춘기의 자녀들은 자기조절능력이 조금씩 자라나는 과정에 있다는 것을 잊지 마시고 아이들의 성장과정을 인내와 적절한 지도로 이끌어야 할 것입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수료(상담 전공)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