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도벽
아이의 도벽
by 운영자 2011.11.01
문> 우리 아이(초등5ㆍ남)에게 도벽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 소지품을 챙겨주기 위해 가방을 열었는데 만원권 몇 장이 나왔습니다.
얼마 전부터 돼지 저금통의 돈이 없어지는 것 같았지만 모른 척했는데 아이가 다른 사람의 돈을 훔치는 것 같아 무척 당황스럽고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답> 도벽은 아이들에게 흔히 있는 일이지만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아이에게 어떤 어려움이 있는 지를 잘 파악해서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도벽은 사회성의 부족, 충동 조절의 문제, 병적 도박 등으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사회성의 부족은 또래관계에서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봐 두려워 친구에게 물건을 사주는 등의 행위로 관계를 유지하거나 잘 보이기 위해서 돈을 훔쳐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는 올바른 친구관계를 알려주시고 자녀의 마음을 헤아려 용기와 격려를 해주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충동조절의 문제는 도덕성과 관련이 됩니다. 자신의 욕구에만 몰두되어 물건을 훔치는 행동으로 인한 결과와 빼앗긴 상대방의 마음은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입니다.
이런 아동들은 용돈관리의 습관을 길러주는 것과 함께 도벽의 결과와 물건을 잃어버린 친구의 마음이 어떨지 명확하게 알려주고 도벽을 고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병적도박은 훔친 물건을 소유하는 것보다 도벽자체를 즐기는 행위가 반복되는 것을 말합니다.
물건을 훔치는 것에 대한 아무런 죄의식 없이 지속적으로 훔치는 행위가 반복된다면 가까운 상담센터나 전문의에게 상담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도벽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일이지만 부모님께서는 당황스럽고 습관이 될까봐 체벌과 비난하는 말로 훈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도벽은 심리적인 문제와 관련이 많습니다. 가정이나 학교 환경에서 자녀가 불안을 느낄만한 요소는 없는지 혹은 부모님의 양육태도가 너무 엄격하거나 방임적이지는 않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 함께 부모님께서는 집안의 돈을 철저히 관리해서 아이가 도벽의 유혹을 느끼지 않도록 하시고 하루단위로 용돈을 주고 점검하면서 관심과 사랑으로 자녀가 성장기에 겪을 수 있는 문제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하셔야 합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수료(상담전공)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
얼마 전부터 돼지 저금통의 돈이 없어지는 것 같았지만 모른 척했는데 아이가 다른 사람의 돈을 훔치는 것 같아 무척 당황스럽고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답> 도벽은 아이들에게 흔히 있는 일이지만 반복적으로 발생한다면 아이에게 어떤 어려움이 있는 지를 잘 파악해서 적극적으로 해결해야 합니다.
도벽은 사회성의 부족, 충동 조절의 문제, 병적 도박 등으로 나누어 질 수 있습니다.
사회성의 부족은 또래관계에서 소외되거나 따돌림을 당할까봐 두려워 친구에게 물건을 사주는 등의 행위로 관계를 유지하거나 잘 보이기 위해서 돈을 훔쳐 사용하는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는 올바른 친구관계를 알려주시고 자녀의 마음을 헤아려 용기와 격려를 해주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충동조절의 문제는 도덕성과 관련이 됩니다. 자신의 욕구에만 몰두되어 물건을 훔치는 행동으로 인한 결과와 빼앗긴 상대방의 마음은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 입니다.
이런 아동들은 용돈관리의 습관을 길러주는 것과 함께 도벽의 결과와 물건을 잃어버린 친구의 마음이 어떨지 명확하게 알려주고 도벽을 고치기 위한 지속적인 관리와 관심이 필요합니다.
병적도박은 훔친 물건을 소유하는 것보다 도벽자체를 즐기는 행위가 반복되는 것을 말합니다.
물건을 훔치는 것에 대한 아무런 죄의식 없이 지속적으로 훔치는 행위가 반복된다면 가까운 상담센터나 전문의에게 상담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도벽은 쉽게 발생할 수 있는 일이지만 부모님께서는 당황스럽고 습관이 될까봐 체벌과 비난하는 말로 훈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도벽은 심리적인 문제와 관련이 많습니다. 가정이나 학교 환경에서 자녀가 불안을 느낄만한 요소는 없는지 혹은 부모님의 양육태도가 너무 엄격하거나 방임적이지는 않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와 함께 부모님께서는 집안의 돈을 철저히 관리해서 아이가 도벽의 유혹을 느끼지 않도록 하시고 하루단위로 용돈을 주고 점검하면서 관심과 사랑으로 자녀가 성장기에 겪을 수 있는 문제를 잘 극복할 수 있도록 도와하셔야 합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수료(상담전공)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