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진로 설계
자녀의 진로 설계
by 운영자 2012.01.17
점점 성장하는 자녀의 진로설계를 어떻게 해주어야 할지 고민입니다. 아직까지 아이의 적성과 흥미도 명확하게 모르고 있습니다. 진로는 참 막연하고 어려운 문제인 것 같습니다.
진로는 단기간에 결정하기 보다는 성장하면서 변화하는 인생의 가치관처럼 오랜 시간에 걸쳐 찾아나가야 하는 장기적인 과제입니다.
진로 선택은 크게 4단계로 나눠집니다. 첫째, 개인의 성격, 가치관, 흥미와 적성을 포함한 개인의 이해, 둘째, 변화하는 직업과 학과 등의 이해, 셋째, 직업과 학과 정보 탐색 방법의 이해, 넷째, 합리적 의사선택의 이해입니다.
먼저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아이의 적성이 무엇인지’, ‘어떤 것에 흥미를 가지는지’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사실 적성이 쉽게 드러나는 사람도 있지만 감추어져 있어 주변에서 잘 관찰하고 이끌어주는 과정을 통해 서서히 드러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 적성은 갈고 닦음으로서 더 선명해지고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자녀의 작은 성취나 말, 행동 등을 세심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로부터 들었던 칭찬, 흥미와 관심을 가졌던 것들을 살펴보면 적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 적성을 이해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입니다. 동아리 활동, 캠프, 여가활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특성과 관련된 진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전문 기관에서 실시하는 검사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진로·적성 검사는 전문가에게 결과 해석을 듣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로, 직업 선택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검사는 진로를 찾아가는 참고자료일 뿐이며 진로는 자녀의 가치관, 흥미, 직업세계의 이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합니다.
진로 역시 발달 단계가 있으므로 자녀의 시기에 따라 부모님의 진로지도는 달라져야 하지만 기본적으로 부모님의 기준에 맞춰 자녀를 이끌려고 하기 보다는 자녀의 이야기를 잘 경청해야 합니다. 아이의 미래설계가 현실적이지 못하거나 분명하지 못한 것을 비난하거나 무시하지 말고 아이의 이야기를 멘토나 인생의 선배와 같은 역할을 유지하며 도울 때 자녀는 자신의 꿈을 당당하게 찾아갈 수 있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은 높은 자아개념을 밑바탕으로 어려움에 대응하는 유연한 자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아개념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긍정적 관심과 대화를 통해 이뤄집니다.
이와 더불어 변화하는 사회에 따른 직업과 학과의 흐름에 관한 정보를 꾸준히 습득하고 정보탐색의 과정을 알고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고용정보원의 홈페이지 활용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
진로는 단기간에 결정하기 보다는 성장하면서 변화하는 인생의 가치관처럼 오랜 시간에 걸쳐 찾아나가야 하는 장기적인 과제입니다.
진로 선택은 크게 4단계로 나눠집니다. 첫째, 개인의 성격, 가치관, 흥미와 적성을 포함한 개인의 이해, 둘째, 변화하는 직업과 학과 등의 이해, 셋째, 직업과 학과 정보 탐색 방법의 이해, 넷째, 합리적 의사선택의 이해입니다.
먼저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아이의 적성이 무엇인지’, ‘어떤 것에 흥미를 가지는지’를 발견하는 것입니다. 사실 적성이 쉽게 드러나는 사람도 있지만 감추어져 있어 주변에서 잘 관찰하고 이끌어주는 과정을 통해 서서히 드러나는 사람도 있습니다.
또 적성은 갈고 닦음으로서 더 선명해지고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자녀의 작은 성취나 말, 행동 등을 세심하게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주변 사람들로부터 들었던 칭찬, 흥미와 관심을 가졌던 것들을 살펴보면 적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 적성을 이해하는 방법으로는 다양한 경험을 하는 것입니다. 동아리 활동, 캠프, 여가활동 등을 포함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신의 특성과 관련된 진로 정보를 습득할 수 있습니다.
전문 기관에서 실시하는 검사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진로·적성 검사는 전문가에게 결과 해석을 듣는 것이 바람직하며 진로, 직업 선택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검사는 진로를 찾아가는 참고자료일 뿐이며 진로는 자녀의 가치관, 흥미, 직업세계의 이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판단해야 합니다.
진로 역시 발달 단계가 있으므로 자녀의 시기에 따라 부모님의 진로지도는 달라져야 하지만 기본적으로 부모님의 기준에 맞춰 자녀를 이끌려고 하기 보다는 자녀의 이야기를 잘 경청해야 합니다. 아이의 미래설계가 현실적이지 못하거나 분명하지 못한 것을 비난하거나 무시하지 말고 아이의 이야기를 멘토나 인생의 선배와 같은 역할을 유지하며 도울 때 자녀는 자신의 꿈을 당당하게 찾아갈 수 있습니다.
꿈을 이룬 사람들은 높은 자아개념을 밑바탕으로 어려움에 대응하는 유연한 자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아개념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긍정적 관심과 대화를 통해 이뤄집니다.
이와 더불어 변화하는 사회에 따른 직업과 학과의 흐름에 관한 정보를 꾸준히 습득하고 정보탐색의 과정을 알고 있을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고용정보원의 홈페이지 활용도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