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이 태어난 후 달라진 아이
동생이 태어난 후 달라진 아이
by 운영자 2012.01.31
5살과 20개월 된 남자아이를 키우고 있습니다. 큰 얘가 동생인 생긴 뒤로 대소변을 가리지 못할 때도 있고 출근하는 저에게서 떨어지지 않아 많이 힘듭니다.
직장생활하면서 아이 양육하는 것도 힘든데 큰 애가 그럴 때마다 너무 힘들어서 심한 말도 하고 혼도 많이 내게 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녀의 출산은 행복하고 축복된 일이지만 큰 아이의 입장에서는 100% 받아오던 부모의 사랑이 줄어드는 위협적인 경험일 수 있습니다.
또한 늘어난 양육 스트레스로 큰 아이의 달라진 행동에 대해 부모님이 날카롭게 반응하고 체벌이 가해지면서 자녀와의 갈등과 문제행동은 더 커지기도 합니다. 동생이 생긴 후 보이는 아동들의 행동에는 동생 괴롭히기, 기어다니기, 젖병 찾기, 옷에 대소변 보기 등이 있습니다.
아이가 동생을 괴롭힐 때 ‘동생에게 그렇게 하면 못써’, ‘형이 돼서 하는 짓이 그게 뭐야’ 라는 비난적인 말로 야단치기보다 괴롭힘을 당하는 동생의 기분이 어떨지를 물어보고 알려줌으로서 동생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또한 동생을 사랑해야 된다고 주입하기 보다는 어머니와 함께 기저귀를 갈거나, 목욕을 시키거나, 이야기를 해주는 등의 동생을 돌보는 역할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자녀가 동생을 돌보는 행동을 칭찬해줌으로서 형의 역할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개별적으로 놀아주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부모의 사랑이 지속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녀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엄마도 어릴 적에 동생이 생기니까 괜히 동생이 밉고 신경 쓰이고 그럴 때가 있었어’ 라고 말함으로써 자녀의 박탈감을 이해해주거나 혹은 자녀의 지나친 어리광에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임으로서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형제 관계는 기본적으로 경쟁관계이면서 양보, 공감, 상호이해를 습득하는 사회적 관계의 토대가 됩니다. 부모님께서 좀 더 여유와 이해를 가지고 자녀에게 접근할 때 자녀의 공격적이거나 관심을 끌고자하는 행동들은 조금씩 줄어들고 긍정적인 발달과정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
직장생활하면서 아이 양육하는 것도 힘든데 큰 애가 그럴 때마다 너무 힘들어서 심한 말도 하고 혼도 많이 내게 됩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녀의 출산은 행복하고 축복된 일이지만 큰 아이의 입장에서는 100% 받아오던 부모의 사랑이 줄어드는 위협적인 경험일 수 있습니다.
또한 늘어난 양육 스트레스로 큰 아이의 달라진 행동에 대해 부모님이 날카롭게 반응하고 체벌이 가해지면서 자녀와의 갈등과 문제행동은 더 커지기도 합니다. 동생이 생긴 후 보이는 아동들의 행동에는 동생 괴롭히기, 기어다니기, 젖병 찾기, 옷에 대소변 보기 등이 있습니다.
아이가 동생을 괴롭힐 때 ‘동생에게 그렇게 하면 못써’, ‘형이 돼서 하는 짓이 그게 뭐야’ 라는 비난적인 말로 야단치기보다 괴롭힘을 당하는 동생의 기분이 어떨지를 물어보고 알려줌으로서 동생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합니다.
또한 동생을 사랑해야 된다고 주입하기 보다는 어머니와 함께 기저귀를 갈거나, 목욕을 시키거나, 이야기를 해주는 등의 동생을 돌보는 역할을 하는 것도 좋습니다.
자녀가 동생을 돌보는 행동을 칭찬해줌으로서 형의 역할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개별적으로 놀아주는 시간을 가짐으로서 부모의 사랑이 지속되고 있다는 안정감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자녀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엄마도 어릴 적에 동생이 생기니까 괜히 동생이 밉고 신경 쓰이고 그럴 때가 있었어’ 라고 말함으로써 자녀의 박탈감을 이해해주거나 혹은 자녀의 지나친 어리광에는 무관심한 태도를 보임으로서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형제 관계는 기본적으로 경쟁관계이면서 양보, 공감, 상호이해를 습득하는 사회적 관계의 토대가 됩니다. 부모님께서 좀 더 여유와 이해를 가지고 자녀에게 접근할 때 자녀의 공격적이거나 관심을 끌고자하는 행동들은 조금씩 줄어들고 긍정적인 발달과정을 이룰 수 있을 것입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