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폐소생술(1)
심폐소생술(1)
by 운영자 2013.07.01
지난번에 심장발작과 협심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러한 경우 응급처치로 심폐소생술이 대단히 중요합니다. 이번에는 심폐소생술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 심장발작과 심장정지
심장발작은 심장 근육으로 흐르는 혈류가 심각하게 감소되거나 차단되어 심장근육 조직이 죽을 때 발생한다. 이는 흔히 하나 이상의 심장동맥에 있는 피떡으로 인해 발생한다.
심장근육이 너무 심하게 손상되면 환자의 심장은 박동을 멈출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심장정지(cardiac arrest)라 한다. 미국에서 급성 심장정지는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해마다 약 25만명이 사망하는 원인이 된다.
▶ 소생의 고리
병원 밖에서 발생한 급성 심정지 환자의 경우 심장정지가 발생한 현장에서부터의 빠른 일련의 절차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생존을 기대하기 어렵다.
소생의 고리(chain of survival)는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 즉시 이루어져야 하는 이상적인 처치절차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소생의 고리의 4개의 연결고리는 다음과 같다.
1. 빠른 신고 : 응급상황을 인지하고 응급의료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즉시 119에 신고한다.
2. 빠른 심폐소생술 : 심폐소생술은 심장정지 환자의 심장과 뇌로 최소한의 혈액을 공급한다. 이는 자동제세동기와 응급의료서비스팀이 도착할 때까지 시간을 벌 수 있으며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기회를 2-3배까지 높일 수 있다.
3. 빠른 제세동 : 심장에 전기충격을 주면 일부 심장정지환자들의 심장박동을 회복시킬 수 있으며 생존율을 50~75%까지 높일 수 있다.
4. 빠른 전문적 처치 : 응급의료제공자들은 급성 심장정지환자들에게 전문 심장소생술을 수행한다. 이는 정맥 내 수액투여, 약물투여, 그리고 전문기도유지장비들을 통한 전문기도관리를 포함한다.
만약 이 고리들을 연계 중 어느 하나라도 수행되지 않는다면 환자의 생존 기회는 크게 감소된다. 반면 이 고리들을 모든 연계가 빠르고 정확하게 잘 이루어졌을 때 환자의 생존기회는 최대가 된다.
<참고> 심정지가 발생한 대부분의 성인환자들은 제세동이 필요하다. 빠른 제세동은 심정지 환자를 생존시키는 유일하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심폐소생술
심장이 박동을 멈추었을 때, 즉시 심폐소생술, 자동제세동기, 그리고 응급의료서비스 전문요원들이 필요하다.
심폐소생술은 인공호흡으로 심정지환자의 폐에 산소를 공급하고 가슴압박을 통해 혈액이 심장과 뇌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슴압박 방법들은 영아(출생에서부터 1세까지), 소아(1세부터 8세까지), 그리고 성인(8세 이상)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하다.
<김경완>
청암대 응급구조과 교수
▶ 심장발작과 심장정지
심장발작은 심장 근육으로 흐르는 혈류가 심각하게 감소되거나 차단되어 심장근육 조직이 죽을 때 발생한다. 이는 흔히 하나 이상의 심장동맥에 있는 피떡으로 인해 발생한다.
심장근육이 너무 심하게 손상되면 환자의 심장은 박동을 멈출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심장정지(cardiac arrest)라 한다. 미국에서 급성 심장정지는 병원 이외의 장소에서 해마다 약 25만명이 사망하는 원인이 된다.
▶ 소생의 고리
병원 밖에서 발생한 급성 심정지 환자의 경우 심장정지가 발생한 현장에서부터의 빠른 일련의 절차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생존을 기대하기 어렵다.
소생의 고리(chain of survival)는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현장에서 즉시 이루어져야 하는 이상적인 처치절차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소생의 고리의 4개의 연결고리는 다음과 같다.
1. 빠른 신고 : 응급상황을 인지하고 응급의료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해 즉시 119에 신고한다.
2. 빠른 심폐소생술 : 심폐소생술은 심장정지 환자의 심장과 뇌로 최소한의 혈액을 공급한다. 이는 자동제세동기와 응급의료서비스팀이 도착할 때까지 시간을 벌 수 있으며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기회를 2-3배까지 높일 수 있다.
3. 빠른 제세동 : 심장에 전기충격을 주면 일부 심장정지환자들의 심장박동을 회복시킬 수 있으며 생존율을 50~75%까지 높일 수 있다.
4. 빠른 전문적 처치 : 응급의료제공자들은 급성 심장정지환자들에게 전문 심장소생술을 수행한다. 이는 정맥 내 수액투여, 약물투여, 그리고 전문기도유지장비들을 통한 전문기도관리를 포함한다.
만약 이 고리들을 연계 중 어느 하나라도 수행되지 않는다면 환자의 생존 기회는 크게 감소된다. 반면 이 고리들을 모든 연계가 빠르고 정확하게 잘 이루어졌을 때 환자의 생존기회는 최대가 된다.
<참고> 심정지가 발생한 대부분의 성인환자들은 제세동이 필요하다. 빠른 제세동은 심정지 환자를 생존시키는 유일하며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 심폐소생술
심장이 박동을 멈추었을 때, 즉시 심폐소생술, 자동제세동기, 그리고 응급의료서비스 전문요원들이 필요하다.
심폐소생술은 인공호흡으로 심정지환자의 폐에 산소를 공급하고 가슴압박을 통해 혈액이 심장과 뇌로 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가슴압박 방법들은 영아(출생에서부터 1세까지), 소아(1세부터 8세까지), 그리고 성인(8세 이상)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거의 유사하다.
<김경완>
청암대 응급구조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