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칙 만들기
규칙 만들기
by 운영자 2011.09.27
“아이가 요즘에 친구들과 함께 하는 컴퓨터 게임에 빠졌어요. 시장갈 때나 잠깐 외출했다가 올 때면 그새 컴퓨터 앞에 앉아 있더라고요.
그만 끄라고 하면 짜증을 내고 괜히 동생한테 화풀이를 해요. 그런데 문제는 컴퓨터뿐만이 아닌 것 같아요. 다른 말도 잘 듣지 않고 자기 하고 싶은 대로만 하려고 해요.”
TV를 보거나 컴퓨터 게임을 하는 아이를 기분 좋게 멈추게 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아이는 부모가 자신을 위해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그저 잔소리나 간섭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들이 규칙 없이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을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아이들은 명시적인 규칙이 있을 때 안정감을 느끼고 그 규칙 안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 더욱이 아이의 자율성 또한 무조건 자유를 강조, 분위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을 때 통제와 조절과 함께 기르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부모의 안정적인 규칙의 틀은 매우 중요하다.일단 무조건 ‘무엇을 하지마라’가 아니라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아이와 함께 규칙을 정하고 실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은 하루에 한 프로그램만 본다’ ‘컴퓨터는 주말 한 시간만 한다’ 등 구체적인 실천 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부모와 아이가 정한 약속을 적어 아이가 잘 보이는 곳에 붙여 두고 날마다 확인하도록 도와준다.
이때 주의할 점은 너무 많은 규칙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모의 욕심에 너무 많은 규칙을 둔다면 아이를 지레 겁을 먹고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날마다 실천한 것은 반드시 긍정적인 보상이 필요하다. 아이에게 무조건 강요만 하고 칭찬이나 격려 등 적절한 관심과 대가 없다면 아이는 곧 흥미를 잃고 말 것이다.
독서지도사 이지은
그만 끄라고 하면 짜증을 내고 괜히 동생한테 화풀이를 해요. 그런데 문제는 컴퓨터뿐만이 아닌 것 같아요. 다른 말도 잘 듣지 않고 자기 하고 싶은 대로만 하려고 해요.”
TV를 보거나 컴퓨터 게임을 하는 아이를 기분 좋게 멈추게 하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아이는 부모가 자신을 위해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보다는 그저 잔소리나 간섭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이들이 규칙 없이 자기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을 좋아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아이들은 명시적인 규칙이 있을 때 안정감을 느끼고 그 규칙 안에서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다. 더욱이 아이의 자율성 또한 무조건 자유를 강조, 분위기보다는 아이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을 때 통제와 조절과 함께 기르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부모의 안정적인 규칙의 틀은 매우 중요하다.일단 무조건 ‘무엇을 하지마라’가 아니라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아이와 함께 규칙을 정하고 실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은 하루에 한 프로그램만 본다’ ‘컴퓨터는 주말 한 시간만 한다’ 등 구체적인 실천 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부모와 아이가 정한 약속을 적어 아이가 잘 보이는 곳에 붙여 두고 날마다 확인하도록 도와준다.
이때 주의할 점은 너무 많은 규칙을 만들지 않는다는 것이다. 부모의 욕심에 너무 많은 규칙을 둔다면 아이를 지레 겁을 먹고 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날마다 실천한 것은 반드시 긍정적인 보상이 필요하다. 아이에게 무조건 강요만 하고 칭찬이나 격려 등 적절한 관심과 대가 없다면 아이는 곧 흥미를 잃고 말 것이다.
독서지도사 이지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