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 불안이 높은 아이
시험 불안이 높은 아이
by 운영자 2011.12.27
고등학교 1학년인 딸이 시험 전날엔 잠도 못자고 매우 불안해합니다. 시험 볼 때는 너무 긴장해 실수를 하고 평소에 아는 것도 놓쳐 공부한 만큼 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평소에도 소소한 것에 지나치게 신경 쓰고 주변 눈치를 보는 것 같아 부모의 양육방법에 문제가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따님이 시험에 대한 불안이 높고 매사에 걱정이 많은 것 같아 위축되고 노력한만큼 결과를 얻지 못해 안타깝지만 어떻게 도와야 할 지 막막해 걱정이 많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경미한 우울, 불안은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으로 작용되기도 하지만 과도한 경우는 경직된 태도와 높은 긴장감을 유발해 집중력 저하와 심리적 고통을 가져오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불안이 형성되는 원인은 개인의 완벽주의적 성향과 부모님의 과잉 통제된 양육태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잉통제는 부모님이 자신의 가치기준과 규범을 자녀에게 엄격하게 적용해 따르지 못했을 경우 비난과 처벌을 가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부모의 뜻되로 성장함으로써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모범적인 모습이지만 실수하지 않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자녀가 모든 과목에서 100점이지만 수학에서 90점을 맞았을 때 수학점수만을 비난하거나 부모님을 위해 청소를 했지만 만족스럽지 않는 부분만을 지적하는 경우들입니다.
아이들의 자율성과 개성은 억압되어 자기주장이나 주도성은 약해지고 일상생활에서 매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게 됩니다.
완벽주의적 태도는 자신과 타인에게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설정해 과도한 부담과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성공하지 못하면 실패하는 것이다’ ‘반드시 ~ 해야한다’는 비현실적이고 경직된 사고와 태도를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님의 경우 ‘이번 시험에 실패하면 내가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없고 이것은 무시무시한 일이다’ 와 같은 생각이 지배해 높은 불안이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실수를 통해 배우는 것이 있다는 긍정적 생각과 목표를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세움으로써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부모님께서도 실수에 대한 허용적 태도와 이것을 통해 배우는 것에 초점을 둠으로써 자녀가 실수나 성공에 집착하기보다 도전하고 자신을 실현하는 과정에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완을 촉진시키는 심호흡, 스트레칭 등을 심리적 노력과 함께 병행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
평소에도 소소한 것에 지나치게 신경 쓰고 주변 눈치를 보는 것 같아 부모의 양육방법에 문제가 있는 것인가 하는 생각까지 듭니다.
따님이 시험에 대한 불안이 높고 매사에 걱정이 많은 것 같아 위축되고 노력한만큼 결과를 얻지 못해 안타깝지만 어떻게 도와야 할 지 막막해 걱정이 많이 되시는 것 같습니다.
경미한 우울, 불안은 일상생활에서 긍정적으로 작용되기도 하지만 과도한 경우는 경직된 태도와 높은 긴장감을 유발해 집중력 저하와 심리적 고통을 가져오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높은 불안이 형성되는 원인은 개인의 완벽주의적 성향과 부모님의 과잉 통제된 양육태도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과잉통제는 부모님이 자신의 가치기준과 규범을 자녀에게 엄격하게 적용해 따르지 못했을 경우 비난과 처벌을 가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부모의 뜻되로 성장함으로써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모범적인 모습이지만 실수하지 않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자녀가 모든 과목에서 100점이지만 수학에서 90점을 맞았을 때 수학점수만을 비난하거나 부모님을 위해 청소를 했지만 만족스럽지 않는 부분만을 지적하는 경우들입니다.
아이들의 자율성과 개성은 억압되어 자기주장이나 주도성은 약해지고 일상생활에서 매우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게 됩니다.
완벽주의적 태도는 자신과 타인에게 지나치게 높은 기대를 설정해 과도한 부담과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성공하지 못하면 실패하는 것이다’ ‘반드시 ~ 해야한다’는 비현실적이고 경직된 사고와 태도를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님의 경우 ‘이번 시험에 실패하면 내가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없고 이것은 무시무시한 일이다’ 와 같은 생각이 지배해 높은 불안이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실수를 통해 배우는 것이 있다는 긍정적 생각과 목표를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세움으로써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 부모님께서도 실수에 대한 허용적 태도와 이것을 통해 배우는 것에 초점을 둠으로써 자녀가 실수나 성공에 집착하기보다 도전하고 자신을 실현하는 과정에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격려해 주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완을 촉진시키는 심호흡, 스트레칭 등을 심리적 노력과 함께 병행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순천 우리아동청소년상담센터 소장>
<국가공인 1급 청소년상담사>
염영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