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망종과 까끄라기

망종과 까끄라기

by 운영자 2013.06.07

호남평야의 보리밭이 맨땅을 드러냈다. 모내기도 끝났다.

“엊그제가 망종(芒種)이었지” 어느새 한 해의 반환점을 도는 6월, 세월 참 빠르다. 까끄라기 망(芒)과 씨 종(種)자로 절기의 이름을 ‘망종’이라 붙인 조상의 지혜가 절묘하다.

이삭에 까끄라기(수염)가 붙은 보리를 수확하고 모내기철을 예고했다.

수확의 기쁨과 벼농사의 시작이 겹치는 시기다.

혹독한 춘궁기(春窮期)를 겪던 시절 보리밥이라도 배불리 먹을 수 있어 즐거웠고, 쌀농사의 기대로 희망이 공존하는 때다. ‘망종엔 발등에 오줌 싼다’고 할 정도로 가장 바쁜 시기다.

벼들의 생장 속도만큼 농부의 손길도 분주해진다.
보리농사는 두 해 농사로 ‘보릿고개’를 넘기기만큼 힘들다. 늦가을 벼를 베고 난 논이나 가을걷이 한 밭에 보리를 심는다.

겨울을 이겨내고 푸릇푸릇 싹이 돋을 때면 눈이 녹으며 성애가 끼여 솟은 뿌리를 밟아준다.

잡초가 보리 보다 더 왕성하게 자라는 봄철엔 김매기를 하느라 허기진 허리가 더욱 휜다. 보리가 익어갈 무렵 비바람이 심술을 부리면 일으켜 세우는 일도 고역이다.

보리타작도 벼 타작 보다 힘들다. 보릿단을 굵은 새끼로 묶어 어깨너머로 커다란 돌에 내리쳐서 털었다. 1차로 털고 난 뒤 도리깨질을 해야 한다.

까끄라기가 목덜미와 사타구니로 파고드니 얼마나 깔끄러운가. ‘혀는 칼보다 깔끄럽다’는 말조심 경구 ‘설망어검(舌芒於劍)’은 망종 절기와 딱 어울린다.

남의 말에 까칠하게 끼어들거나 까치라기 보다 더 까칠한 언어폭력은 비수가 되어 마음에 상처를 낸다.

구수한 햇보리 밥에 풋나물과 된장을 넣어 비벼 먹던 풋풋한 인정과 정감 넘치는 말이 기차여행의 낭만처럼 그립다.

<이규섭시인>